보이스피싱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보이스피싱

104

AI 보이스피싱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보이스피싱으로부터 고객의 자산을 보호하는 국민은행의 금융 사기 대응 팀을 만나본다.

71

주식과 가상자산 손해를 보상받을 수 있다고 속여 돈을 가로채는 신종 보이스피싱이 나타나, 경찰이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115

[앵커] 경찰청에서 만든 도청 방지 앱이라고 속여 내려받게 한 뒤 휴대 전화를 통해 일상생활을 모두 도청한 일당이 붙잡혔습니다. 이 앱을 한번 깔면 경찰서에 신고하려는 것조차 알아내서 협박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기자] 실제 전화사기범의 전화 통화 내용입니다. [전화사기범 : 검거 현장에서 다량의 대포 통장하고 신분증을 압수했었습니다. 공교롭게도 그중에 김○○ 씨 명의의 우리은행하고 하나은행 통장이 같이 확인됐거든요.] 이것만 들으면 수사기관을 사칭한 보통의 전화사기범 같지만 또 다른 교묘한 수법이 있었습니다. 바로 경찰청 도청 방지 앱처럼 꾸민 해킹 앱이었습니다. 사기꾼 꼬드김에 넘어가 악성 앱을 깔면, 피해자는 일당의 손안에 있는 셈입니다. 악성 앱에 감염된 전화기로 실제 서울중앙지검 번호로 전화를 걸어봤더니, 이렇게 미리 등록해둔 제 전화기로 전화가 연결됐습니다. 일당은 미리 등록해둔 자신들의 콜센터로 전화가 연결될 수 있게 조작했습니다. 이처럼 실제 기관에 사기 여부 확인을 위해 전화를 걸어도 모두 가로채는가 하면, 사기꾼이 원할 경우 피해자의 일상생활을 도청할 수도 있었습니다. [피해자 : 도용당했나 봐 내 명의를. [지인 : 아니 근데, 그때 보니까 내가 그 사람들이… 응? 사기꾼들 같은데.] 피해자가 어떻게 대응하는지 훤히 알 수 있다 보니 경찰에 신고하려던 피해자 가운데 하나는 경찰서를 나서자마자 협박 전화를 받기도 했습니다. 경찰은 지난 2019년부터 중국에 근거지를 둔 일당을 추적해 지금까지 콜센터 관리자를 비롯한 3명을 붙잡고, 대만에 있는 정보수집 서버를 압수했습니다. 2018년부터 10월부터 6개월 동안 감염된 휴대전화는 938대, 피해자는 166명에 이릅니다. 경찰은 앱을 이미 설치했다면 비행기 모드로 전환한 뒤 백신 프로그램을 통해 악성 앱을 제거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이지용 / 경찰청 사이버테러수사 5팀장 : IP주소 기반으로 유포하는 앱을 절대 설치하시면 안 되고, 구글플레이스토어나 T스토어 이런 정상적인 스토어를 통해서만 앱을 설치하는 게 안전합니다.] 경찰은 중국에 머물고 있는 총책을 비롯한 주범을 잡기 위해 공안에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다만 피해액 61억 원은 이미 중국에 넘어가 되찾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0

LTE망에서 일반 휴대전화와 보이스피싱 악용 ‘심박스’ 구분

71

정부가 보이스피싱 사기범의 목소리를 기존 범죄자 음성 데이터와 비교해 검거 속도를 높이는 인공지능, AI 모델을 자체 개발했습니다. 외국어로 학습된 음성분석 모델보다 한국어 사용 범죄자의 동일인 여부를 판별하는 정확도가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행정안전부는 새 음성분석 모델을 이달 말부터 음성 감정 등 사기범 수사 과정에 활용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그동안 러시아와 영국에서 개발한 음성분석 모델을 활용해 보이스피싱 수사에 필요한 음성감정을 해왔습니다. 최신 AI 딥러닝 기술이 적용된 이번 모델 개발에는 국내외 일반인과 보이스피싱 사기범 6천여 명으로부터 추출된 100만 개 이상의 외국어와 한국어 음성데이터가 활용됐습니다. 성능 검증 결과 범죄자의 음성을 기존 범죄자와 옳게 매칭하는 비율이 기존 외국산 분석모델보다 약 77% 향상됐다고 행안부는 설명했습니다. 100개의 범죄자 음성을 감정했을 경우, 기존모델에서는 목소리 동일성 여부를 28개만 판별해낼 수 있었지만, 새로운 모델에서는 51개까지 판별 가능했습니다. 나머지 49개에 대해서는 '알 수 없음'이라는 답을 내놨습니다.

0

국과수, 이달 말부터 사기범 목소리 감정에 활용

244

보이스피싱 범죄, 정부 그놈 그녀 목소리에 강력대응 #보이스피싱 #포렌식 #법과학 #과학수사

204

-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의 인터넷주소(URL)나 전화번호 클릭 주의 -‘추석 선물이 배송되었습니다. 배송 주소를 확인하세요’, ‘엄마 내 핸드폰 떨어트려서 화면이 깨져 수리 맡겼어. 이 번호로 톡친구 추가하고 톡줘’등 문자사기 주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 금융위원회(위원장 김주현), 경찰청(청장 윤희근),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원태, 이하 ‘KISA’), 금융감독원(원장 이복현)은 추석 연휴를 앞두고, 택배 배송과 금융 지원 안내 등을 사칭한 스미싱*, 지인 명절인사 등으로 위장한 메신저 피싱 증가로 인한 이용자의 피해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314

과연 AI는 개발자만 잘 만들면 문제가 없을까? 특정 목소리를 학습해서 보이스피싱으로 악용하는 사람들, 특정 인물의 얼굴을 포르노에 합성하는 딥페이크 기술. 과연 개발자만의 문제일까? 이용자들도 악용하지 않도록 윤리적으로 이용해야 한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X2zuZo5HtkM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인공지능의 악용 / YTN 사이언스 #인공지능 #AI #보이스피싱 #딥페이크 #인공지능윤리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0085&key=202208261622124588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1453

스미싱은 SMS라고 하는 문자 메시지에다가 피싱(phishing)의 합친 용어인데요. 원래 피싱이라는 단어 자체가 personal data fishing을 가르치는 건데요, 일종의 낚시하듯이 개인 데이터를 낚는다는 거죠. 예를 보면 '무료쿠폰 제공'이라는 내용이나 '택배 조회' 등이 있으면 클릭하기 쉽잖아요. 그렇게 클릭하게 되면 스마트폰에 악성 코드가 깔리게 되는 거죠. 나도 모르게 소액결제가 될 수 있고,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탈취당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