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테리아

255

2012년, 미국 연구진은 특정 박테리아에 높은 농도의 염화금을 먹인 후, 순금 알갱이를 배설한다는 것을 확인하며, 박테리아를 이용한 금 배양의 가능성을 알렸다.

911

CRISPR-Cas 시스템 이용한 보다 정교한 유전자 조작에 응용 기대 인간과 박테리아, 바이러스는 끊임없는 생존 전쟁을 치르며 고유의 면역체계를 발전시켜왔습니다. 박테리아의 방어막을 뚫고 공격하는 바이러스의 면역회피 시스템과 이를 무력화 시키는 박테리아의 면역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국내연구진이 새롭게 밝혀, 인간 유전자 편집 기술에도 응용이 기대됩니다.

653

내성균이 항생제 분해하여 세균 집단 내성 유발 국내연구진이 다제내성균* 치료 시 최후 처방 항생제로 사용되는 콜리스틴(Colistin)의 효과를 무력화하는 내성균의 기전을 발견해 다중미생물 감염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차창준 교수(중앙대학교) 연구팀이 토양에서 분리한 병원균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가 콜리스틴 항생제를 분해하고, 다중미생물 감염 시 일반적으로 치료가 가능한 병원균까지 집단 내성*을 유발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303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의 차이 #사이언스프렌즈 #바이러스 #박테리아 #과학쇼츠

370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근원적 차이는 #사이언스프렌즈 #박테리아 #바이러스 #과학쇼츠

319

표면 코팅으로 소재의 성능을 무한대로 끌어올리는 기술. 코팅을 할 수 있는 재료라면 어디에든 활용할 수 있다고 한다. 산업용 강판뿐만 아니라 일상에 가까운 연구도 한다고 한다. 소수성과 친수성 표면 코팅 연구에 대해 알아본다. ▶ Full 영상: https://youtu.be/tWezoluGnk4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박테리아 #표면코팅 #소수성 #친수성 박테리아가 살 수 없는 표면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204250900585317

480

호주의 배리 마셜 박사는 여러 명의 위염 환자에게서 같은 균을 발견했지만, 의학계에서는 그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았었는데... 마셜 박사는 이 균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라는 이름을 붙여 연구를 계속해나갔고, 그는 이 균을 직접 마셔 이 균이 위염을 일으킨다는 것을 마침내 증명해냈다고 한다. ▶full영상: https://youtu.be/Xh8OrNNTYok #헬리코박터균 #베리마셜 #위염 #항생제 #박테리아 마셔서 증명해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핫클립]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185&key=202110141625363487

497

IT 기술이 점점 발전하면서 일과 사생활의 구분이 사라지고 있죠 대표적으로 디지털 노마드가 있습니다. 전자기기를 이용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하며 업무를 보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가까운 미래 여행지에서의 화상 회의를 기대해 봅니다! 01:58 ■ 몸 앞과 뒤쪽 신장을 제외하곤 몸 전체가 투명한 벌레 🐛 03:57 ■ 사과와 🍎 우주의 🌌 대결! 파스타면같이 맛깔난 모양을 한 '이것'은? 06:05 ■ 머리는 밤에 감아야 하는 이유 🧼 07:59 ■ 초당 3~500번의 날갯짓으로 시속 32km로 비행하는 이것 🦟 09:44 ■ 보기만 해도 아파지는 사진 🤕 11:35 ■ 바닷속의 산호 같은 느낌 청소년은 안되는 '이것' 🚬 #유리벌레 #박테리아 #두피 #모기 #딱지 #흡연자폐 [X파일] 휴대전화 박테리아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460&s_hcd=&key=202110220853036250

0

6월 5일 플로리다주 현지 시각 13시 29분. 화물을 실은 로켓이 미국 플로리다주에 있는 케네디우주센터에서 강렬한 화염을 내뿜으며 솟아오르더니 순식간에 대기권을 빠져나갔다. 22번째로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착한 ‘펠콘9(Falcon9)’. 테슬라 대표이면서 최근 국제적으로 가장 뜨거운 인물인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민간우주 수송회사인 ‘스페이스 X(Space X)’의 발사체다. 스페이스X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에 상업용 화물을 제공한다.

0

코로나19는 짧은 시간 안에 수많은 인명 피해를 가져왔으나, 병원균의 항생제 내성은 페니실린이 발명된 이래 인류 건강을 위협하는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