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미생물

58

1997년 이후 대기업도 간장 사업을 할 수 있게 되면서 샘표식품은 고품질 전략으로 승부수를 두었고, 품질을 위해 국내 최초 발효연구소까지 세웠다.

419

내성균이 항생제 분해하여 세균 집단 내성 유발 국내연구진이 다제내성균* 치료 시 최후 처방 항생제로 사용되는 콜리스틴(Colistin)의 효과를 무력화하는 내성균의 기전을 발견해 다중미생물 감염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차창준 교수(중앙대학교) 연구팀이 토양에서 분리한 병원균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가 콜리스틴 항생제를 분해하고, 다중미생물 감염 시 일반적으로 치료가 가능한 병원균까지 집단 내성*을 유발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321

김영옥 해양수산연구관은 해양 미생물을 연구하는 과학자다. 물고기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기능성 미생물 첨가제가 들어있는 사료를 개발했고 다양한 수산 환경에서 미생물을 분리해 좋은 물질을 찾아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UQCWhSDK2MU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해양 #미생물 #넙치 #물고기 #YTN사이언스 해양 미생물을 연구하는 과학자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204271618484491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350

주로 반찬으로 사용되는 멸치젓갈을 구입해 연구에 사용할 만큼 김영옥 해양수산연구관은 미생물에 늘 진심이다. 그녀의 말에 따르면 젓갈을 담근 시기에 따라서도 미생물의 차이가 있다고 한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UQCWhSDK2MU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멸치젓갈 #미생물 #발효 #유산균 #YTN사이언스 멸치 젓갈에서 분리한 유산균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204271541107154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0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해 6월부터 최근까지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공동 연구를 해 지하 300m 이상의 퇴적암층 시료에서 미생물이 생존한다는 것을 확인하고, 분리·배양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진은 경남 진주시와 대구시에 있는 퇴적암층 2곳(진주층· 대구층)을 750m까지 채굴해 빛과 물, 산소가 없는 환경에 사는 미생물을 탐색했다.

1022

공기나 산소가 존재해야만 살 수 있는 미생물

1340

산소가 있는 조건에서 살기 어려운 미생물 혹은 세균

384

통조림 속에는 보존제가 들어가지 않는다. 그렇다면 통조림은 어떻게 식품을 오랫동안 보존하는 것일까? 그것은 바로 가열과 밀폐 때문이라고 한다. 함께 통조림의 보존기술 비밀에 관해 알아본다. ▶full영상: https://youtu.be/t2VM72-D6gY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통조림#가열#살균#멸균#미생물 YTN 사이언스 홍종현 (hjh1239@ytn.co.kr)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0082&key=202112301505537958

458

개미의 솜털까지 볼 수 있는 주사전자현미경은 미생물의 크기를 확인하거나 산업체에서 생산된 구조물을 확인하는데 주로 쓰인다고 한다. 그렇다면 주사전사현미경은 어떤 원리로 150만 배까지 확대가 가능한 것인지 알아본다. ▶full영상: https://youtu.be/st2YfuI_LwU #주사전자현미경 #광학현미경 #나노크기 #미생물 #구조체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460&key=202109301640407135

0

일반적으로 미생물은 바이러스(virus)와 박테리아(bacteria), 그리고 곰팡이라고 부르는 진균(Fungi) 등의 3종류로 구분한다. 그중 건강한 식물체 내에서 일정 기간 동안 서식하고 있는 세균이나 곰팡이를 내생균(內生菌)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