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창조경제의 아이콘 연구개발특구 모델 해외 수출
- 페루 과학기술단지 구축·운영 협력 MOU 체결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한국형 과학단지 모델(K-STP(Korea-Science Technology Park))*전수, 글로벌 기술사업화 상호지원...
SW 마에스트로 과정은 SW 개발역량과 창의력, 열정을 가진 연수생을 선발, SW산업 현장의 최고 전문가*로 구성된 멘토가 노하우를 직접 전수함으로써 SW산업을 이끌어갈 인재를 육성하는 프로그램이다.
* SW기업 창업자, SW 개발 전문가, 법률․회계․투자 등 분야별 전문가
‘인공위성’은 최첨단과학기술자만이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음료수 캔 모양의 원통으로 만든 초소형 위성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음료수 캔과 위성의 합성어인 일명 ‘캔위성(CanSat)’은 상용키트를 사용해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고, 이를 열기구나 과학로켓으로 쏘아 올려 지구 사진을 촬영하는 것은 관심만 있다면 가능하다는 것이 과학자들의 설명이다.
인공위성의 종료는 매우 다양하다. ‘아리랑 위성’과 같은 지구관측위성, 기상예보나 해양관측을 하는 ‘천리안 위성’, 우리에게 위치를 알려주는 ‘GPS 위성’ 등이 고도로 숙련된 과학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위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