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71

얼음을 넣어두던 돌 창고 보물 제66호 석빙고 금처럼 얼음이 귀했다고 하는데.. 전기 없이도 차가운 석빙고의 구조 어떤 과학 원리가 숨어있을까?🤔

69

[앵커] 경복궁의 정문 광화문 앞 월대가 100년 만에 원형 복원됩니다. 일제가 훼손한 왕이 다니던 계단 등이 제모습을 찾아 올해 10월 시민에게 개방됩니다. [기자] 조선 후기 광화문 앞에 축조했던 월대의 장대한 규모가 한눈에 들어옵니다. 1866년 고종이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광화문 앞에 만든 것으로 길이 48.7m, 폭 29.7m에 달합니다. 광화문 정문에서 7미터가량 이어진 왕이 다니던 길 '어도지'의 옛 모습, 동편과 서편의 계단지 유적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광화문 월대는 왕의 행차는 물론 외국 사신 영접 등 중요 행사가 있을 때 사용했던 곳입니다. 월대는 궁궐의 안이나 정문 앞에 넓게 설치한 대(臺)로, 왕실의 위엄을 높이기 위한 건축물인데 광화문 월대는 구조적으로 특별한 점이 있습니다. 궁궐 정문 앞에 난간석을 울타리처럼 두르고 기단을 쌓은 경우는 광화문 월대가 유일합니다. 지난해 9월 이후 발굴을 통해 어도계단지가 경사로로 바뀌고, 일제가 전차 선로를 깔면서 훼손되는 등 4단계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장에는 왕이 다니던 어도계단지 등을 훼손한 일제강점기의 전차 선로 흔적이 선명합니다. [신희권 / 서울시립대 국사학과 교수 : 그러한 변화를 겪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도로 밑에서는 조선 후기 고종 때 중건했던 광화문 월대의 거의 원래의 모습을 저희들이 추정할 수 있을 만큼의 그러한 발굴 성과가 이번에 확인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어도계단지의 좌우에 놓였던 소맷돌을 받쳤던 지대석 등을 확인해 광화문 월대 원형 복원이 탄력을 받게 됐습니다. [정성조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본부장 : 우리 청에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추진했던 광화문 복원 사업이 월대 복원의 완료로 마무리된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문화재청은 전통 재료와 기법을 적용해 월대를 1890년대 이전 모습으로 복원할 계획입니다. 오는 10월 전면 개방에 맞춰 '궁중문화축전' 등과 연계해 대대적인 복원기념행사를 열 계획입니다.

72

전북 익산시에서 6~7세기, 백제 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냉장고 시설이 발굴됐습니다. 문화재청은 익산시와 함께 추진하고 있는 금마면 서동역사공원 조성 터 지하에서 돌을 쌓아 만든 대형 저온 저장시설 2기를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저장시설은 공기가 배출되는 통기구가 비스듬히 위쪽을 향하도록 하고, 바닥에 모래가 섞인 점토 등을 깔아 습기를 차단하는 등 과학적으로 설계됐습니다. 저장고 바닥에서는 참외와 딸기, 포도, 산뽕나무 씨앗과 밀, 조, 팥 등의 곡식이 발견돼 삼국시대 먹거리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발견된 백제 저장고는 공주 공산성과 부여 관북리 유적 등 궁궐로 추정되는 유적에서만 확인돼 이번에 발견된 저장고 역시 왕실 시설일 가능성이 높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했습니다. 서동역사공원 조성 터에서는 저장고와 함께 건물 유적과 백제 왕궁리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과 같은 특징의 벼루, 그릇, 기와 등도 나왔습니다. 또 조선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기와 가마 5기도 확인됐습니다. 서동역사공원 조성 터는 백제 무왕 탄생 설화가 내려오는 곳 인근에 있습니다. 문화재청과 익산시는 이번 조사 성과를 토대로 유적의 보존·활용 방안을 만들 계획입니다.

303

우리가 가장 많이 접하는 문화유산 중 하나는 석조 문화유산이다. 석조 문화유산의 복원에서 가장 기본적인 원칙은 문화유산이 제작되었을 때와 동일한 기법, 동일한 재료를 사용해서 복원하는 것이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V1i1BQmRP7Y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석조문화유산 #문화유산 #복원 #보존과학 #문화재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206131727111540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350

문화유산이 소실되거나 훼손되었을 때 원형 그대로를 복원할 수 있는 원시 데이터를 확보하는 문화재 디지털 아카이빙. 이런 디지털 아카이빙은 어떻게 하는걸까? 초정밀 스캐너와 광대역 스캐너 등 다양한 장비를 활용한 디지털 아카이빙 과정을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V1i1BQmRP7Y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디지털아카이빙 #문화재 #문화유산 #문화재복원 #보존과학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206131724172119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31

쉽게 접근할 수 없는 문화재를 메타버스에서 보고 느낄 수 있는 시대가 왔다. 반가사유상을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하는 과정을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V1i1BQmRP7Y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메타버스 #문화재 #문화유산 #반가사유상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206131654101629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00

충청남도 부여군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이곳은 미래의 보존과학자를 육성하는 곳이다. 학생들이 어떤 꿈을 가지고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 오게 되었는지, 어떠한 마음가짐으로 문화재 복원을 해야 하는지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V1i1BQmRP7Y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 #문화유산 #보존과학 #YTN사이언스 미래의 보존과학자를 육성하는 학교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206131641366314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304

문화유산은 금속, 토기, 석재, 토양, 목재, 섬유, 종이 등 다양한 재질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문화유산들은 세월의 흐름과 변화에 따라 자연적, 인위적인 요소들로 인해 손상을 입게 된다. 보존과학은 이런 문화재들의 재질과 손상 상태를 파악하여 문화재의 원형을 보존하고 전승하는 역할을 한다. ‘복원은 기술적 완료가 아니라 기억과 가치를 복원하는 일이며 잃어버린 시간과 새로운 시간을 맞이하는 일‘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인 보존처리가 시작된 것은 언제부터일까?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존과학이라는 분야가 적용된 것은 1970년대 석굴암의 해체 보수 작업이다. 1920년~1923년 일본인에 의해 보존처리된 석굴암의 균열이 발생하면서 재 보존처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1970년대 대대적인 해체 보수 작업이 진행되었다. 석굴암의 보존처리를 시작으로 공주 무령왕릉, 천마총 등의 대대적인 발굴 작업이 진행되면서 문화재 보존과학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수천 년의 세월을 버텨온 우리나라 문화유산의 복원, 보존 기술력에 대해 알아본다. #보존과학 #복원 #문화재 #문화유산 #보존기술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www.ytn.co.kr/replay/view.php?idx=66&key=202206071024088900 시간과 시간을 잇다, 보존과학 / YTN 사이언스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86

과거와 미래 기술의 만남, 디지털 문화유산. 생생한 문화재 체험부터 다양한 콘텐츠 활용까지!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문화유산 산업에 대해 알아본다 ■ 이종욱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산업학과 교수 KAIST 문화기술학 박사 전) KAIST 문화기술연구소 연수연구원 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촉연구원 한국공학예술학회 학술발표대회 우수논문상 (2012) #디지털문화유산 #문화유산산업 #문화재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5&s_hcd=&key=202111010832228915

492

지난 경주에서 지진이 발생해 문화재로 지정된 절이나 고택에도 큰 피해가 있었다. 한옥은 지진에 강하지만 기와의 무게가 무거워지면 피해가 크게 일어날 수 있다고 하는데, 지진의 피해를 줄이는 기와가 있을까? ▶full영상: https://youtu.be/ndoAmRNp_Qc #지진#지진피해#내진기와#한옥#문화재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10825171324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