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107

조선 전기부터 경복궁 정문인 광화문 앞 공간을 활용해온 흔적이 일부 발견

55

[앵커] 경복궁의 정문 광화문 앞 월대가 100년 만에 원형 복원됩니다. 일제가 훼손한 왕이 다니던 계단 등이 제모습을 찾아 올해 10월 시민에게 개방됩니다. [기자] 조선 후기 광화문 앞에 축조했던 월대의 장대한 규모가 한눈에 들어옵니다. 1866년 고종이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광화문 앞에 만든 것으로 길이 48.7m, 폭 29.7m에 달합니다. 광화문 정문에서 7미터가량 이어진 왕이 다니던 길 '어도지'의 옛 모습, 동편과 서편의 계단지 유적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광화문 월대는 왕의 행차는 물론 외국 사신 영접 등 중요 행사가 있을 때 사용했던 곳입니다. 월대는 궁궐의 안이나 정문 앞에 넓게 설치한 대(臺)로, 왕실의 위엄을 높이기 위한 건축물인데 광화문 월대는 구조적으로 특별한 점이 있습니다. 궁궐 정문 앞에 난간석을 울타리처럼 두르고 기단을 쌓은 경우는 광화문 월대가 유일합니다. 지난해 9월 이후 발굴을 통해 어도계단지가 경사로로 바뀌고, 일제가 전차 선로를 깔면서 훼손되는 등 4단계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장에는 왕이 다니던 어도계단지 등을 훼손한 일제강점기의 전차 선로 흔적이 선명합니다. [신희권 / 서울시립대 국사학과 교수 : 그러한 변화를 겪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도로 밑에서는 조선 후기 고종 때 중건했던 광화문 월대의 거의 원래의 모습을 저희들이 추정할 수 있을 만큼의 그러한 발굴 성과가 이번에 확인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어도계단지의 좌우에 놓였던 소맷돌을 받쳤던 지대석 등을 확인해 광화문 월대 원형 복원이 탄력을 받게 됐습니다. [정성조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본부장 : 우리 청에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추진했던 광화문 복원 사업이 월대 복원의 완료로 마무리된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문화재청은 전통 재료와 기법을 적용해 월대를 1890년대 이전 모습으로 복원할 계획입니다. 오는 10월 전면 개방에 맞춰 '궁중문화축전' 등과 연계해 대대적인 복원기념행사를 열 계획입니다.

664

00:40 ■ 문화유산 분석에 쓰이는 과학 장비 ▶full영상 : https://youtu.be/V1i1BQmRP7Y 04:25 ■ 빨대를 활용한 뺄셈 ▶full영상 : https://youtu.be/Omu4bsrP4cM 07:20 ■ 식량난을 일으킬 해수면 상승 ▶full영상 : https://youtu.be/-HZGOFA7RX0 11:14 ■ 국립해양조사원이 하는 일 ▶full영상 : https://youtu.be/-HZGOFA7RX0 14:00 ■ 카드를 사용하지 않는 신개념 POS ▶full영상 : https://youtu.be/Nsv6Qww4gAw 16:40 ■ 세계 유일의 야생식물 종자 저장고 ▶full영상 : https://youtu.be/r1BsZ_bmCoE 19:57 ■ 유성펜을 쉽게 지우는 방법 ▶full영상 : https://youtu.be/r2KSb6TUesM 22:09 ■ 다시 보는 그날의 감동 - 누리호 발사 성공 ▶full영상 : https://youtu.be/Fpq_xY1dfkg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과학영상 #문화유산 #뺄셈 #해수면상승 문화유산 분석에 쓰이는 과학 장비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233&s_hcd&key=202208091543406530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84

우리가 가장 많이 접하는 문화유산 중 하나는 석조 문화유산이다. 석조 문화유산의 복원에서 가장 기본적인 원칙은 문화유산이 제작되었을 때와 동일한 기법, 동일한 재료를 사용해서 복원하는 것이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V1i1BQmRP7Y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석조문화유산 #문화유산 #복원 #보존과학 #문화재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206131727111540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316

문화유산이 소실되거나 훼손되었을 때 원형 그대로를 복원할 수 있는 원시 데이터를 확보하는 문화재 디지털 아카이빙. 이런 디지털 아카이빙은 어떻게 하는걸까? 초정밀 스캐너와 광대역 스캐너 등 다양한 장비를 활용한 디지털 아카이빙 과정을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V1i1BQmRP7Y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디지털아카이빙 #문화재 #문화유산 #문화재복원 #보존과학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206131724172119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182

장장 16년에 걸쳐 만들어진 경전 - 팔만대장경. 뒤틀림 방지를 위해 3년간 바닷물에 담근 10여 종의 목재를 소금물에 삶고 그늘에 말리고 해충 피해를 막기 위해 옻칠까지 했다. 또한 팔만대장경을 보관하는 해인사는 습기를 차단하기 위해 건물 창 크기를 다르게 하고 남향에 건축했다. 팔만대장경은 우리 조상들의 뛰어난 보존과학과 건축 기술을 보여준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V1i1BQmRP7Y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팔만대장경 #해인사 #문화유산 #문화재보존 #옻칠 보존과학의 표본 - 팔만대장경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206131716172394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28

문화유산 분석은 문화유산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문화유산을 면밀하게 조사하는 과정에는 다양한 과학장비들이 동원된다. 어떤 과학장비들로 어떤 분석을 하는지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V1i1BQmRP7Y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문화유산 #괘불 #보존과학 #현미경 #X선형광분석기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206131707419720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335

국립문화재연구원에서 안동 하회탈과 병산탈의 보존 처리 작업이 한창이다. X-ray 촬영을 통해 내부 구조를 3차원으로 확인하고 정밀기록화 작업을 통해 얻은 자료를 통해 이물질 건식 세척을 하고 향후 복원 작업을 위한 보존 처리를 진행한다. 그리고 유물 기록 카드 또한 작성한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V1i1BQmRP7Y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하회탈보존 #하회탈 #문화유산 #병산탈 #YTN사이언스 하회탈의 보존 처리 과정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206131711237358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48

지류 문화유산은 오랜 세월을 버티기에 취약하다. 따라서 복원 작업도 매우 조심스럽게 이루어져야 한다. 백지은니수능엄경의 복원 작업을 보며 지류 문화유산 복원에 대해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V1i1BQmRP7Y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지류문화유산 #문화재복원 #보존과학 #문화유산 #백지은니수능엄경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206131702541077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19

쉽게 접근할 수 없는 문화재를 메타버스에서 보고 느낄 수 있는 시대가 왔다. 반가사유상을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하는 과정을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V1i1BQmRP7Y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메타버스 #문화재 #문화유산 #반가사유상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206131654101629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