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사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모사

0

세계 속씨식물 수가 30만 종이라면 진균 수는 380만 종으로 12배 이상이다. 두 생물군의 상호작용은 다양한 증상의 질병을 나타낸다. 진균 중에서도 보통 버섯과 같이 상리 공생을 하는 종이 있다면, 기생하는 종이 있다. 재미있는 점은 식물에 기생하는 진균 중 종의 번영을 위해 식물의 기관을 변형시키거나 모습을 바꾸기도 한다.

2768

spaceplay / pause qunload | stop ffullscreenshift + ←→slower / faster ↑↓volume mmute ←→seek . seek to previous 12… 6 seek to 10%, 20% … 60% 거짓을 참인 것처럼 꾸민 것 - 가짜. 이와 비슷한 말로는 짝퉁, 위조, 위조품, 위작, 거짓, 모사, 사기, 등이 있는데요. 이와 같은 가짜는 우리의 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얼굴로 진짜 행세를 하고 있습니다.

1489

섬유를 같은 방향으로 가지런히 맞추어 끌어당기면서 꼰 한 가닥의 실

1533

섬유를 같은 방향으로 가지런히 맞추어 끌어당기면서 꼰 한 가닥의 실을 말한다.

센서

0

미세균열(nano crack)을 이용하여 변위, 진동, 압력, 음성 등 기존 센서보다 최소 100배에서 최대 1000배 이상 향상된 감도로 측정할 수 있는 초고감도 센서를 제작하는데 성공했다. 거미의 감각기관에 미세 균열이 있는 것에서 착안, 그 원리를 규명하고 이를 모사한 것이다.

4065

이러한 변화가 왜 일어났을까? 13세기는 유럽 세계가 본격적으로 분열되기 시작한 시기다. 자연히 국가간 경쟁이 심화되고 기술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기 마련이다. 이에 따라 사회적인 분위기도 실용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했으며 사람들은 탐욕스럽게 자연으로부터 지식을 짜냈다. 이러한 경향은 대항해시대로도 이어져서 세상의 온갖 특이하고 신기한 것들을 끌어모아 분류하는 박물학이 출현했다. 이 때 축적된 세계 각지의 자연 정보가 바탕이 되어 이후 지질학과 생물학을 비롯한 과학 전반이 급속히 발전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