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 Part 4

면역

0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의대와 무어스(Moors) 암센터 연구진은 면역 억제를 조절하는 분자 스위치를 찾아내 면역 치료 효과를 크게 향상시킴으로써 암에서부터 알츠하이머병이나 크론병 같은 난치병까지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고 19일자 과학저널 ‘네이처’(Nature)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0

미국 존스홉킨스 공중보건대 역학자인 저스틴 레슬러 교수는 ‘사이언스’(Science) 14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한 논문에서 “지카가 오랫 동안 잠잠하다 유행하게 된 것은 모기 매개 질병과 다른 잘 알려지지 않은 질병들의 전지구적 확산에 대해 우리가 실제로는 제대로 잘 알지 못 하고...

0

아마도 너무 급진적일 수 있지만 효과가 있다: 땅콩을 먹게 되면 땅콩에 대한 알레르기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발달과정에서 위험이 높은 어린이들에게 특히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오랫동안 주장되어온 이론인 잠재적인 음식 알레르기원에 대한 소화는 알레르기를 막을 수 있는 방식이다라는 주장을 주류의학이론으로 포함시킬 수 있게 된다. 이번 연구에는 참여하지 않았던 텍사스 의대 사우스웨스턴 의학센터 (University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in Dallas)의 알레르기 면역학전문가인 레베카 그루찰라 (Rebecca Gruchalla)는 “이번 연구는 정말 놀라운 일”이라고 말했다.

3290

병리학적으로 혈관의 결합조직(結合組織)에 팽화(膨化)나 괴사(壞死) 등 교원섬유의 변성을 주병변(主病變)으로 하는 급 · 만성 질환이다.

0

의사들은 오랫동안 HIV-1이 왜 어떤 개인들을 빠르게 아프게 하는 반면에, 다른 이들에서는 그 바이러스가 발판을 구축하는데 어려움을 겪는지에 대해 혼란스러워했다. 이제, HIV-1와 그것이 감염시키는 세포들 안에서의 유전적 변이에 대한 연구가 그 난해한 차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명해주고 잠재적으로 새로운 치료법으로 가는 문을 열어줄지도 모르는 HIV-1의 무기에 있는 틈을 밝혀냈다.

0

과학기술 전문 매체인 사이언스는 최근 땅콩이나 꽃가루 등에는 ‘기생충의 단백질과 비슷한 항원’이 들어 있어 알레르기를 일으킨다고 보도하면서, 이번 결과가 기생충과 알레르기 간의 관련성을 밝히는 것은 물론, 향후 알레르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식품을 가려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1426

T림프구라고 한다. 흉선에서 유래하는 림프구로 면역에서의 기억능력을 가지며 B세포에 정보를 제공하여 항체 생성을 도울 뿐만 아니라 세포의 면역에 주된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