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망막

456

색맹과 야맹증의 이유! 망막의 손상 때문? #색맹#야맹증#망막#황막

499

눈에서 필름 역할을 하는 망막에는 색을 인지하는 원추세포와 명암을 인지하는 간상세포가 있다. 이 세포들이 많이 모여있는 곳이 황반인데 만약 이곳에 문제가 생기면 우리가 바라보는 대상에 까맣거나 하얀 점이 보이거나 물체가 떨리는 것처럼 보인다고 하는데... 함께 망막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자! ▶full영상: https://youtu.be/EnvLUJcrTlQ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황반#눈#망막#원추세포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460&key=202110281552149007

419

■ 엄태중 / 고등광기술연구소 부소장 대한민국 과학을 이끌어가는 과학자들의 연구와 삶을 들여다보며 그들을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아흔 다섯 번째 주인공! 엄태중 박사. 20세기 인류의 삶을 바꾼 가장 위대한 발명, 레이저! 그 발명으로부터 60년이 지난 현재, 레이저 기술은 모든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만큼 세계적으로 기술 경쟁이 쟁쟁한데. 대한민국의 엄태중 박사는 이러한 세계 레이저 기술 시장에 도전하고 있다. 현재까지 눈 질환을 가장 정확하게 진단하는 기기인 광결맞음 단층영상기기(OCT). 전 세계적으로 이 기술을 개발하기 많은 연구팀과 기업이 뛰어들었으나 현재 단 3개의 회사만의 이 기술을 독점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엄 박사는 의료영상기기에 안정적으로 레이저 기술을 응용해 사람 망막의 3차원 구조를 실시간 고해상도로 보여주는 데 성공했다. 엄 박사의 광음향 영상 기술을 사용하면 레이저 광원으로 손상되거나 파열된 힘줄이나 인대의 상처 부위를 촬영할 수 있다. 기존의 진단법인 초음파나 자기공명장치(MRI)이 가진 오류를 극복할 수 있게 된 것인데. 이로써 엄 박사는 국내 기술로 독점 시장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 레이저 광기술의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데 앞장서고 있는 엄 박사 연구팀. 레이저 광원으로 미래 첨단기술을 개발하는 엄태중 박사의 연구 이야기를 들여다보자. #안구질환 #레이저 #망막 #황반변성 #OCT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394&s_hcd=&key=202111230902035503

511

눈의👀 구조는 카메라와📷 비슷하다고 하죠~! 그 중 막망은 카메라의 필름🎞️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눈을 통해 들어오는 빛의 정보를✨ 뇌로 전달하여 물체로 인식한다고 하네요. 안구를 감싸고 있는 작지만 소중한 망막!👁️‍🗨️ 망막 검사에 대한 모든 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망막 #망막검사 #눈의구조 #황반변성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460&s_hcd=&key=202110150925375146

404

최초의 동력 비행선을 제작한 '앙리 지파르' 사람의 손으로 비행체를 통제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고 합니다. 자유롭게~ 저 하늘을~ 과학의 세계에서 자유롭게 날아 보아요~ 🛩️ 02:03 ■ '이것'은 울지 않지만 사람들을 많이 울리는 해충 🦟 03:45 ■ 치맥을 망설이게 하는 '이것'! 🍗 통풍 예방법까지~ 05:24 ■ '이것'에 문제가 생기면 날파리가 보인다? 👀 06:51 ■ 쓸모가 없다고 해서 이름 앞에 '개'가 붙은 간지럼 유발자 🥀 08:50 ■ 요즘엔 사람들이 '이것'을 덜먹으려고 한다는데...🤐 11:11 ■ 5월이 되면 많이 날리는 꽃가루 🌲 #꽃매미 #요산염 #망막 #개옻나무 #소금 #소나무 [원문 제목] [X파일] 개옻나무 껍질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460&s_hcd=&key=202109240935552854

1

안구의 가장 안쪽을 덮고 있는 신경조직이 망막(retina)이다. 얇고 투명한 막으로 빛에 의한 자극을 받아들이는 시세포가 분포하는데 빛에 대한 정보를 전기적 정보로 전환해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1418

특수 조영 기술을 이용한 망막 미세 혈관 촬영으로 알츠하이머 치매를 진단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미국 듀크대 연구팀은 치매가 진행되면서 망막 미세 혈관의 밀도가 낮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해 치매는 물론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까지 진단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1347

눈의 뒷부분인 망막까지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초소형 로봇이 개발됐습니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팀은 외부에서 자기장을 걸어주면 나선형의 프로펠러를 통해 움직이는 길이 400nm 크기의 초소형 로봇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로봇은 머리 부분에 약물을 넣어 원하는 곳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데 돼지 눈에 로봇을 주입한 결과, 각막에서 망막까지 비슷한 크기의 입자보다 10배 빠른 속도인 30분 만에 도달했습니다.

0

사람이 눈에 보이는 자연을 다양한 색감으로 인지할 수 있다는 것은 커다란 축복이자 신비의 하나다. 이 색감을 통해 사람은 자연을 탐구하고, 생존 기술도 익혔으며, 과학과 예술을 발전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