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과학 역사학자들은 현대 물리학의 시작점을 뢴트겐(Wilhelm Röntgen)이 X-선 발견 논문을 발표한 1895년으로 보고 있다. X-선 발견이 방사선학, 핵물리학, 양자역학 등 현대 물리학의 발전에 미친 영향이 막대하기 때문일 것이다. 잘못된 가설로 시작한 뢴트겐의 실험이 어떻게 위대한 발견으로 이어지게 되었을까?
노벨의 유언에 따른 노벨상이 사상 처음 수여된 1901년도 노벨 물리학상의 수상자는 뢴트겐(Wilhelm Conrad Röntgen; 1845-1923)이었다. X선의 발견자로 잘 알려진 뢴트겐의 업적은 노벨상을 충분히 받고도 남을 만한 획기적인 학문적 성과이며, 또한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인류 문명의 발전에 큰 족적을...
“나는 예언자가 아니다. 나는 예언을 반대하는 사람이다. 나는 연구를 위해 계속 노력할 뿐이며, 그 결과가 확인되면 가능한 빨리 공개할 뿐이다. 우리는 보고자 한다면 보게 될 것이다. 우리는 현재 시작을 했을 뿐이다. 계속 발전해 나갈 것이다” – 빌헬름 뢴트겐(1845~1923), 독일 물리학자, X선 발견자-
“우리들은 라듐이 죄 많은 사악한 사람들의 손에 들어갈 때 지극히 위험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들은 과연 인류가 자연의 비밀을 많이 아는 쪽이 유리한 것인지, 모르는 것이 유리한 것인지 판단이 안 될 때가 있습니다. 과학이 죄 많은 사람의 수중으로 넘어가 파괴의 수단이 된다면 지식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 마리 퀴리, 1903년 노벨 물리학상 수락 연설에서-
오늘날과 같은 인터넷 시대에 빈번히 사용되는 용어의 하나이자, 해결 또는 합의를 이루어야할 중요한 문제의 하나로서 카피레프트, 즉 지적재산권의 공유(共有) 문제가 있다. 카피레프트(Copyleft)라는 용어는 저작권, 지적재산권을 의미하는 '카피라이트(Copyright)'에 반대한다는 의미로 만들어진 신조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