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포렌식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디지털포렌식

78

[앵커]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인공지능, AI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성범죄 촬영물을 24시간 자동 추적하는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영상물 검출 시간이 2시간에서 3분으로 단축돼, 피해 확산 차단에 획기적인 기여를 할 전망입니다. [기자] 직장인이었던 24살 A 씨. 평범했던 삶은 하루아침에 무너져버렸습니다. 전 남자친구가 성관계 동영상을 SNS에 유포한 겁니다.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 길거리를 다녀도 이 사람이 날 봤을까 나의 피해물을 봤을까 생각이 들고 그래서 극심한 우울증도 앓고 지금도 정신과에 다니고 있고 직장도 그만뒀어요." 가해자는 처벌받았지만 그게 끝이 아니었습니다. 아무리 삭제해도 자신의 모습이 담긴 촬영물은 끊임없이 재유포됐습니다. [피해자 : 걔 하나 처벌된다고 해서 제 피해물이 그만 올라오는 게 아니거든요. 모니터링하고 고소하고 아무리 한 달에 몇 번 경찰에 가도 계속 올라오기 때문에….] 피해 영상물 삭제를 돕고 있는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했습니다. 기존에는 수작업으로 영상물을 찾아냈는데 이젠 인공지능 기술이 다양한 정보를 분석해 버튼 한 번만 눌러 피해자와 관련한 모든 영상물을 즉시 찾아낼 수 있습니다. [김준철 / 서울기술연구원 공학 박사 : 서버를 여러 대 구성해서 퍼포먼스를 높일 수 있는 기법을 적용했고요. 그러다 보니 웹 콘텐츠의 수많은 링크사이트나 SNS를 대상으로 검색하는 기법이 빨라졌습니다.] 검색어 입력부터 검출까지 1~2시간 걸리던 게 3분으로 단축되고 24시간 추적이 가능합니다. 지난해 피해 영상물을 선제적으로 2천5백 건 가까이 삭제했는데 올해는 2만5천 건까지 지울 수 있을 전망입니다. 도움이 필요한 피해자들은 센터 상담 전용 직통번호(02-815-0382)나 카카오톡(검색: 지지동반자 0382)으로 연락하면 됩니다.

267

범죄 단서를 찾는 수사기법, 디지털 포렌식 #디지털포렌식 #법과학 #과학수사 #포렌식

259

DNA, 혈흔, 지문과 족적, CCTV 속 영상까지. 모든 방법을 동원해 찾아내는 현장의 증거. 과학으로 풀어보는 범죄 현장! 더 큰 범죄를 막기 위한 수많은 이들의 노력. 특별한 사람들과 함께하는 과한토크. 오늘은 완전 범죄를 막을 과학수사의 힘에 관해 이야기 나눠보자. 우리 커피 한잔할까요? ========================================== 00:00 | INTRO 02:07 | 과학수사란 무엇인가요? 05:11 | 과학수사 관련 체험도 있을까? 08:21 | DNA에서 실마리를 찾다, 유전자 감식 11:18 | 혈흔 감식과 유전자 감식의 차이는? 13:33 | 일란성 쌍둥이는 어떻게 판단할까? 15:00 | 서래마을 영아 살해유기 사건 18:25 | 강호순 연쇄살인사건 23:09 | DNA를 통해 재수사가 시작된 미제 사건 24:37 | 이춘재 연쇄살인사건 27:14 | 기억에 남는 사건은? 30:33 | 비교적 가벼운 사건에도 과학수사가 활용되는지? 33:06 | DNA로 범죄자 예측이 가능할까? 34:00 | 과학수사, 지문과 족적 37:50 | 지문으로 찾아낸 한국인 희생자들 38:48 | 발자국을 가장 먼저 채취하는 이유는? 39:54 | 사건의 목격자, CCTV 41:43 | CCTV 때문에 범인을 잡았던 사건은? 00:00 | INTRO ========================================== #과학수사 #법과학 #디지털포렌식 #DNA #CSI 완전 범죄는 없다! - 과학수사의 힘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475&s_hcd&key=202209141734144162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654

SNS 속 관계 데이터 분석에 기초를 마련하고 과학수사 기법 중 디지털 포렌식에 사용하는 그래프 이론! 이 이론을 만든 18세기의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어떻게 그래프 이론을 생각하게 된 것일까? ▶full영상: https://youtu.be/EOU3aktddSo #그래프이론#디지털포렌식#데이터분석#수학자#과학수사기법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099&key=202108191125084100

536

감정기법의 표준화에 의한 감정 결과의 객관성이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국제표준에 따른 시스템을 확립했는데요. 그래서 2009년 2월 한국인정기구(KOLAS)로부터 필적, 인영, 지문 감정 방법에 대하여 문서 감정 분야에서는 국내 최초로 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 인정을 받았습니다.

802

한국도 첨단 과학 수사기법을 활용해 범죄의 단서를 찾고 사건을 해결하는 대검찰청 기관 '국가디지털포렌식센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법 과학을 포렌식 사이언스라고 칭합니다. 포렌식 사이언스와 디지털이 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