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80

올해로 22회째를 맞은 한국디스플레이산업 전시회가 열렸습니다. 계기판 없이 디스플레이로만 차량 조작을 하거나 사용자 편의에 따라 화면을 확장할 수 있는 기술도 선보였습니다.

92

국내 연구진이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가시광선 영역의 원편광 빛을 발생하는 박막형 소자를 개발했습니다.

155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수준의 높은 효율을 갖는 진청색 OLED 소자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80

[앵커] 정부가 지난달 첨단산업단지 조성 프로젝트를 발표한 이후 처음으로 구체적인 투자 계획이 나왔습니다. 삼성 디스플레이가 충남 아산에 4조 원 이상을 투입해 중국의 추격을 따돌릴 수 있는 OLED 생산능력을 확보하기로 했고, 정부는 이를 적극 뒷받침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기자] 세계 최대 OLED 패널 생산기지가 있는 삼성 디스플레이 아산 공장에 윤석열 대통령이 찾아왔습니다. 지금은 주로 스마트폰용 패널을 만들고 있지만, 앞으로는 태블릿과 노트북용 제품이 생산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삼성디스플레이는 오는 2026년까지 총 4조천억 원을 투자하기로 하고 지자체 등과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OLED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158

국내 연구진이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의 소재인 마이크로 LED를 만드는 과정에서 소자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았습니다. 마이크로 LED는 OLED보다 밝기와 명암비, 수명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소재지만,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 소자를 작게 만들수록 결함 비율이 커져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KAIST 김상현 교수 연구팀은 소자의 두께와 소재 구성비 등을 적절히 조절해 결함에 민감하지 않도록 바꿔준 결과 효율 저하 현상을 해결할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또 이렇게 만들어진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는 마이크로 LED로 만든 기존 디스플레이보다 열이 40% 정도 덜 발생한다고 설명했습니다.

207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3월 17일(금) 강남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바이오 분야「R&D 쇼케이스*」’를 개최합니다.

0

반도체, 디스플레이, 우주 등 주요 과학 분야 정부 연구성과를 대중에게 알리는 전시회가 열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7일 바이오 분야를 시작으로 연내 9차례 ‘연구개발(R&D) 쇼케이스’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0

전남대 등 공동연구팀, 수분에 대한 필름 내구성 개선

213

전자 기술과 첨단 산업의 눈부신 발전을 이끈 핵심, 반도체! 여러 분야에 활용되는 다양한 반도체와 갖가지 제조 공정 보다 작고 스마트하게 진화하는 반도체 기술 산업의 미래를 선도할 융합 인재와 작지만 큰 기술, 반도체 이야기! ■ 홍상진 / 명지대학교 반도체공학과 교수 명지대학교 반도체공정진단연구소 소장 한국마이크로전자패키징연구조합 교육학술위원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학술이사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사이언스포럼 #과학기술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자 작은 반도체, 큰 반도체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0085&hcd&key=202212261024195028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