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디스플레이

20

국내 연구진이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의 소재인 마이크로 LED를 만드는 과정에서 소자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았습니다. 마이크로 LED는 OLED보다 밝기와 명암비, 수명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소재지만,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 소자를 작게 만들수록 결함 비율이 커져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KAIST 김상현 교수 연구팀은 소자의 두께와 소재 구성비 등을 적절히 조절해 결함에 민감하지 않도록 바꿔준 결과 효율 저하 현상을 해결할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또 이렇게 만들어진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는 마이크로 LED로 만든 기존 디스플레이보다 열이 40% 정도 덜 발생한다고 설명했습니다.

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3월 17일(금) 강남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바이오 분야「R&D 쇼케이스*」’를 개최합니다.

0

반도체, 디스플레이, 우주 등 주요 과학 분야 정부 연구성과를 대중에게 알리는 전시회가 열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7일 바이오 분야를 시작으로 연내 9차례 ‘연구개발(R&D) 쇼케이스’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0

전남대 등 공동연구팀, 수분에 대한 필름 내구성 개선

89

전자 기술과 첨단 산업의 눈부신 발전을 이끈 핵심, 반도체! 여러 분야에 활용되는 다양한 반도체와 갖가지 제조 공정 보다 작고 스마트하게 진화하는 반도체 기술 산업의 미래를 선도할 융합 인재와 작지만 큰 기술, 반도체 이야기! ■ 홍상진 / 명지대학교 반도체공학과 교수 명지대학교 반도체공정진단연구소 소장 한국마이크로전자패키징연구조합 교육학술위원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학술이사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사이언스포럼 #과학기술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자 작은 반도체, 큰 반도체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0085&hcd&key=202212261024195028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

167

[앵커] 국내 연구진이 고무줄처럼 길게 늘일 수 있는 반도체를 개발했습니다. 좁은 공간에 많은 소자를 집적할 수 있는 특수 기술이 적용됐는데, 고해상도 신축성 디스플레이 제작에 활용될 수 있을 전망입니다. 최소라 기자입니다. [기자] 디스플레이의 핵심 소재인 반도체는 딱딱한 웨이퍼 위에 제작됩니다. 하지만 웨어러블 디스플레이가 부상하면서 유연한 반도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고무줄처럼 자유롭게 늘어나는 반도체를 개발했습니다. 반도체 소자가 나열된 기판을 양쪽으로 당겼는데, 전기가 그대로 통하고 전류값과 증가 속도도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늘어나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이렇게 잡아당겨 길이를 두 배까지 늘려도 반도체 성능이 그대로 유지됩니다. 유연하지만 성능이 떨어지는 유기 소자 대신 딱딱하면서 성능이 뛰어난 무기 소자를 사용했는데, 대신 특수한 배열 기술이 적용됐습니다. 기판에 금속 배선을 말발굽 모양으로 구불구불하게 배열하고, 그 위에 소자를 집적한 겁니다. 기판을 당기면 배선이 점차 직선으로 펴지면서 늘어나는 원리입니다. [오힘찬 / ETRI 선임연구원 : 반도체 소자를 저희가 고분자 보호제 안에 사방으로 감싸서 늘렸을 때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기존에도 신축성 반도체는 있었지만, 늘어나는 금속 전선과 늘어나지 않는 반도체 소자를 반복연결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이번에는 늘어나는 전선을 길게 배열한 뒤 그 위에 고밀도 소자를 심는 방식으로, 같은 면적에 15배 많은 소자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박찬우 / ETRI 실장 : 해상도가 높다는 게 큰 장점이 될 수가 있고, 같은 면적에서 더 많은 고해상도 패널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비용도 더 장점이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연구팀은 기존 반도체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는 방식을 사용했기 때문에 양산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 개발된 소자 외에 다른 부품들의 신축성까지 확보된다면, 늘어나는 모바일 기기나 피부에 밀착되는 전자기기 제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과학기술 #YTN사이언스 #뉴스 ======================================= ✨ YTN사이언스 홈페이지 https://science.ytn.co.kr/ ✨YTN사이언스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3raTL0t ✨ 사이언스 투데이 유튜브 채널 https://bit.ly/3Xrovbp ✨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

374

암피실린 미세구조로 에너지 재활용과 광추출 효율 향상 항생제 암피실린*과 전도성 고분자* 혼합물을 활용하여 높은 외부양자효율*을 갖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국내 연구진이 구현하였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류승윤 교수(고려대학교, 제1저자 김동현, 이창민 박사과정) 연구팀이 항생제 기반 미세구조 합성을 통해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원천기술을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232

세상을 보는 창인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의 혁신을 이끌어가는 카이스트 최경철 교수를 만나보았다. 디스플레이와 섬유를 결합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한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3SacUuQrrdk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디스플레이 #섬유 #OLED #유연성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204151701122553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300

세계 최초의 섬유형 디스플레이를 제작하는 카이스트 최경철 교수와 연구진. 섬유 OLED를 여러개 만들어서 직조하면 작은 불빛들을 모아 영상을 만들 수 있다고 한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3SacUuQrrdk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섬유OLED #OLED #디스플레이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204151658497067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