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

95

당시 신분제도 때문에 의관의 길을 택한 허준 선생 구암 허준 선생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이곳! 허준박물관

0

경남 산청군이 세계기록유산 ‘동의보감’의 우수성과 역사적 의의를 널리 알리려고 열린강좌 동영상을 제작, 온라인에 싣는다. 동의보감 열린 강좌는 문화재청 공모사업인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동의보감 활용과 홍보사업’의 하나로 추진한다. 당초 오프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온라인으로 전환했다.

2130

세계 최초의 공중보건서 동의보감(1610년) 병증, 약물 종류, 침구법, 예방법 등 의학지식 집대성 닭고기는 오장을 안정시키고 여름철 저항력을 키워준다. 파뿌리는 소화장애, 설사, 저혈압에 좋다. 800가지 음식처방 일반인에게도 유용한 지침서

1970

동의보감에는 손톱의 색상, 모양의 변형을 보면 병의 위중함을 알 수 있다는 구절이 있다는데요. 그만큼 손발톱은 우리 몸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 신호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김진리 가정의학과장과 함께 손톱과 몸의 이상에 대해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4549

구급 상황 대처법 정리, 산부인과 · 소아과에 관한 의학 지식 모음 백성이 쓰기 편한 공중보건 의서를 편찬 1610년 (광해군 3년) 동의보감 완성 주요 의서 500여 권 비교 분석 의학 대중화에 기여 백성을 살리는 어진 의술을 펼친 허 준 (1537~1615)

0

19세기 말 인천 사람들은 자유공원 일대를 ‘약대인산’이라고 불렀다. 약대인(藥大人)이란 서양 의사라는 의미였는데, 바로 그곳에 인천 최초의 현대식 병원이었던 성누가병원과 서양 의사가 있었기 때문이다.

4174

2009년 세계기록유산 등재, 2015년 국보 지정! 대한민국을 넘어 전 세계의 인정을 받은 소중한 유산 동의보감. 이매진 이번 시간에는 동의보감 속에 담긴 선조들의 지혜를 들여다본다.

5193

    단군신화를 보면 쑥이 나온다. -‘쑥 한묶음과 마늘 스무개를 주면서…’(時神遺靈艾一炷 蒜二十枚曰)- 웅녀가 쑥을 먹고 사람이 되는 이야기는 과학적으로는 이해하기 어렵지만, 이는 짐승이 사람으로 변할 수...

2902

조선 중기의 명의로 동양 최고의 의서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저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