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실험

0

오가노이드사이언스·넥스트앤바이오·멥스젠 등 개발 중

226

모든 생명과학의 기본은 세포 배열이고, 이것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바이오 기술이 파생된다. 줄기세포융합연구센터는 세포를 3차원으로 배양해 오가노이드를 만들었다. 외관뿐 아니라 미생물을 주입해 환경까지 묘사한 오가노이드. 그중에서도 간 오가노이드는 사람을 대신할 임상시험 전 단계에서 약물을 평가할 수 있는 시험법을 위해 만들었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Zhzfb0zFbYI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오가노이드 #바이오 #독성평가 #동물실험 #약물시험 인공 미니어처 장기, 오가노이드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_hotclip.php?mcd=1394&key=202211111555276591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04

동물 실험 안하는 혁신 독성 평가 기술 #동물실험 #독성 #독성평가

202

독성 연구에 대한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각각의 독성을 예측하는 예측 독성 연구본부에서는 줄기세포를 이용해 원하는 장기의 세포로 분화시키는 유사 장기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세포로 만들어진 인공 장기는 높은 정확도와 동물 실험으로부터 자유로워 비임상 실험 분야에서 핵심적인 독성 평가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Amuxai5YuoM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독성연구 #줄기세포 #유사장기# 동물실험 #비임상실험 줄기세포로 만들어진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독성 연구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_hotclip.php?mcd=1394&key=202211041521184684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188

동물 실험 필요 없는 심장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환자에게 접합한 약물 테스트 #줄기세포 #의학 #오가노이드 #동물실험

321

제약회사들은 신약을 출시하기 전 약물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 동물 실험과 임상 실험을 진행한다. 하지만 이런 실험들은 윤리적, 시간적, 금전적 문제가 있다. 인공지능으로 신약을 개발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 ======================================== ※ Full 영상 ▶ https://youtu.be/Y9UxhLapIRY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인공지능 #신약개발 #동물실험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0085&key=202205241516347745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1188

지난해 국내 연구기관에서 실험용으로 사용한 동물이 무려 3백만 마리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험동물은 10마리 중 7마리 꼴로 중간 정도 이상의 고통이 따르는 실험에 동원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0

웰컴 트러스트 생어 연구소(Wellcome Trust Sanger Institute)의 원래 명칭은 생어 센터(The Sanger Centre)였다. 1992년 영국 정부와 기부단체인 웰컴 트러스트는 2번이나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프레더릭 생어(Frederick Sanger)의 이름을 따 생어 센터를 세웠고, 지금은 세계에서 가장 저명한 유전체학 연구센터로 인정받고 있다.

725

서울대학교가 실험 대상으로 금지된 사역견을 실험에 이용하면서 학대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이병천 교수에 대해 관련 연구를 중단시켰습니다. 서울대는 이교수의 스마트 탐지견 개발 연구를 중단시키고, 이 교수가 맡고있는 실험동물자원관리원 원장직 직무를 정지시키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