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함수

1683

다른 말로 그래디언트라고도 부른다. 벡터 미적분학에서 스칼라장의 최대의 증가율을 나타내는 벡터장을 뜻하는 말이다. 단순하게 생각해서, 단위거리를 움직일 때 가장 변화값이 큰 방향을 나타낸다고 봐도 된다.

1558

주어진 함수가 미분가능 할 때, 그 도함수를 구하는 방법

1552

평균변화율에서 △x가 0으로 수렴할 때의 변화율로 이를 순간변화율

1696

미계수, 미분몫이라고도 한다. 함수 y=f(x)가 x0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정의될 때, 극한 가 존재(유한 극한값을 가짐)하면 그 극한값을 함수 f(x)의 x0 에서의 미분계수라 하며 f'(x0) 로 나타낸다. 여기서 △x는 독립변수...

1600

독립변수 값의 미소한 변화에 따른 함숫값의 변화를 의미

1234

미분의 차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1192

미분의 차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812

도함수란 함수 f(x)를 미분하여 얻은 함수 f'(x)를 말하며, 미분계수라고도 불린다.

5448

어떤 함수를 미분하여 얻는 함수. 복소변수(複素變數)의 함수에서는 미분가능하기만 하면 모든 계수의 도함수가 존재한다.함수론에서의 정칙(正則) 함수의 뚜렷한 성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