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진

416

재미있고 유익한 정보를 모아모아 제공하는 핫클립 유레카~ 0:00 ■ 강도 9.0의 지진 후 몰려온 쓰나미 🌊 03:23 ■ 손상 부위를 색으로 알려주는 자가진단 소재 05:48 ■ 식기세척기는 어떻게 개발되었을까? 🧽💦 09:45 ■ 시선 강탈! 프리스타일 줄넘기, 360도로 보면? 13:00 ■ ESS의 핵심, 바나듐을 얻기 위한 과정 ⛏️ 16:54 ■ 함께 풀어보는 멘사 퀴즈 ✍️ 19:35 ■ 후쿠시마 원전 💥 폭발과 피해의 원인 23:40 ■ 초고속 카메라로 본 수조에서 생긴 일 💫 #대지진 #고분자샘플 #식기세척기 #줄넘기 #바나듐 #멘사퀴즈 #원전사고 #확산 [원문 제목] 강도 9.0의 지진 후 몰려온 쓰나미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233&s_hcd=&key=202109281216188086

0

지구는 쉬지 않고 자전을 하고 있다. 그런데 가끔 그 속도가 느려질 때가 있다. 과학자들은 이런 점을 감안, 지난 수십 년간 낮 시간의 변화를 추적해왔다. 그리고 1000분의 1초인 밀리세컨드(ms) 차원에서 늘어나거나 줄어든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1245

자연재해 중에서도 가장 무서운 것이 지진이라고 하는데요, 엄청난 규모의 대지진, 이른바 '빅 원'에 대한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 '빅 원' 징후로 추정되는 현상이 잦아지면서 미국 서부를 중심으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1014

규모 5.8의 강진 이후 1주일 만에 또다시 강한 여진이 일어나면서 대지진 공포감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영남 지역의 활성 단층대가 연쇄 반응을 일으킨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0

최근 부산과 울산지역에서 발생한 원인을 알 수 없는 가스 냄새를 두고 대지진의 전조가 아니냐는 '괴담'이 SNS를 통해 빠르게 퍼지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그 같은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일축했다.

1446

일본 열도의 지각 움직임이 심상치 않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앞으로 30년 이내에 규모 9.1의 강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일본 난카이 해구가 매년 6cm씩 이동한 것으로 조사돼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0

최근 들어 돌발 기후와 지질 사건에 의한 피해가 크게 늘어남에 따라 지진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정부와 사회, 그리고 과학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저주파수, 고강도의 기후와 지질 구조 사건에 의해 지표 과정 및 탄소 순환 등이 중대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속속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그 과정 및 지속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등에 대하여서는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고 인식이 제한적이다.

0

페이스북은 자신의 안전 여부를 알리고 주변 사람들의 생존을 확인하는 GPS 기반 ‘안전 확인(Satety Check)’ 기능을 가동했다. (https://www.facebook.com/about/safetycheck) 구글도 네팔어, 인도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로 ‘사람 찾기(Person Finder)’ 서비스를 시작했다.

4242

최근 지구촌 곳곳에 지진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일본 오키나와와 근접한 타이완 동해에서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했고, 같은 시각 오키나와 현 남쪽 지역에서도 규모 6.8의 지진이 관측됐습니다. 지난 3월에는 콜롬비아 동북부에서 규모 6.2의 지진이 일어났고, 멕시코 중부 지역에서도 규모 5.3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