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멸종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대멸종

63

지구 곳곳에 일어나는 이상기후, 이로 인해 고통 받고 있는 생명체들, 일부 학자들은 지구의 6차 대멸종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인류 주도로 만들어진 새로운 지질시대, 인류세 6차 대멸종과 인류세는 어떤 관계가 있을지 알아봅니다.

176

『인류를 위협하는 대재앙 1부.』 한반도 남부 지방의 작은 농촌 마을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 병풍처럼 사방이 산으로 둘러쌓인 분지 한 가운데 눈과 밭 그리고 한적한 마을이 자리잡고 있는데요, 오목한 그릇 모양을 하고 있는 이 분지는 지름이 무려 8km에 달하는 '적중-초계 분지' 입니다. 평범해 보이는 이 농촌마을.. 알고 보면 약 5만 년 전 우주적 격변의 현장이었다고 밝혀졌습니다. 직경 200m 크기의 운석이 대기를 뚫고 떨어졌고 충격파로 바위는 녹고 산과 땅은 한 순간에 증발했습니다. 운석이 떨어진 곳을 기준으로 반경 50km 까지 초토화.. 200km까지 열폭풍이 몰아쳤습니다. 이 충돌로 인해 남부 지방 일대가 초토화되고 충청도, 경기도까지 강력한 열폭풍이 강타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류를 위협하고 있는 소행성.. 과학자들이 찾아낸 지구 근접 소행성은 약 3만여 개라고 합니다. 2016년 유앤은 소행성 충돌 위험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매년 6월 30일을 국제 소행성의 날로 지정했고 과학자들도 소행성 충돌에 대비하기 위한 여러가지 아이디어를 내기 시작했는데요, 그 중 충돌 위험이 있는 소행성의 충격을 가해 경로를 바꾸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라는 의견이 모아졌고 이 것은 현실이 되었습니다. 2022년 9월 26일 지구에서 1,100km 떨어진 목성 인근에서 소행성의 궤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인류 최초의 지구 방위 실험인 다트 프로젝트가 진행되었습니다. 실제 충돌하는 영상이 한국천문연구원의 망원경으로 포착이 되었습니다. 충돌 전 소행성의 표면을 찍은 영상도 공개되었는데요, 그 모습을 다큐S프라임에서 담아보았습니다. == 1부 ==================================== 00:00 | 인트로 01:13 | 과학자들이 경고하는 인류 멸망 시나리오 04:29 | 5만 년 전, 경남 합천에 떨어진 초대형 운석 09:17 | 경남 합천 운석 충돌의 결적인 증거 11:07 | 인류를 위협하는 대재앙①, 소행성 충돌 13:38 |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 아포피스 15:47 | 러시아 상공에 폭발한 500kt(킬로톤)의 소행성 17:48 | 국제 소행성의 날 18:28 | 인류 최초의 인류 방어 실험 19:37 | 인류 최초로 시도된 지구 방위 실험 '다트 프로젝트' 21:10 | 한국천문연구원 망원경에 포착된 다트 프로젝트 충돌 장면 23:00 | 한국의 우주 위험 대응을 위한 연구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인류멸망 #대멸종 #소행성충돌 #대재앙 #다큐멘터리 산업재해, 위기의 대한민국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213&hcd&key=202211110917098143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137

영화 속 단골 소재 중 하나가 바로 인류 멸망을 담은 이야기다. 이 황당한 설정은 영화 속 이야기 같지만, 2013년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에 지름 약 17m급의 소행성이 떨어지다 지구 대기권에서 폭발했다. 이 소행성 폭발의 충격파로 인해 약 1,500명이 부상을 당했고, 그 피해액은 360억 원에 달했다. 이런 소행성의 충돌뿐 아니라 인류를 위협하는 대재앙의 또 하나는 바로 불의고리다. 최근 지진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환태평양 조산대 ‘불의 고리’ 위에 위치한 나라들에서 심상치 않은 강진들이 잇달아 발생하고 있는데, 특히 불의 고리 위에 위치하고 있지 않지만 우리나라 역시 결코 안전하지 않다. 격변하고 있는 지구와 우주로부터 과연 우리는 인류 대재앙의 순간을 막아낼 수 있을까? 그리고 얼마 전 진행된 인류의 첫 소행성 충돌 실험 성공이 갖는 의미는 무엇일까? ======================================= 00:00 | 인트로 01:13 | 과학자들이 경고하는 인류 멸망 시나리오 04:29 | 5만 년 전, 경남 합천에 떨어진 초대형 운석 09:17 | 경남 합천 운석 충돌의 결적인 증거 11:07 | 인류를 위협하는 대재앙①, 소행성 충돌 13:38 |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 아포피스 15:47 | 러시아 상공에 폭발한 500kt(킬로톤)의 소행성 17:48 | 국제 소행성의 날 18:28 | 인류 최초의 인류 방어 실험 19:37 | 최초로 시도된 지구 방위 실험 '다트 프로젝트' 21:10 | 한국천문연구원 망원경에 포착된 다트 프로젝트 충돌 장면 23:00 | 한국의 우주 위험을 대응하는 방법 27:18 | 인류를 위협하는 대재앙②, 지진 29:53 | 환태평양 지진대(조산대) '불의 고리' 34:18 | 한국의 지진 사례 37:52 | 한반도의 지진 원인 39:18 | 기상청 지진화산감시센터 41:31 | 백두산의 화산 활동 42:25 | 화산재 낙하 시 국민행동요령 43:01 | 지진 발생 시 국민행동요령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 사이언스 박인식 (ispark@ytn.co.kr) #대멸종 #지구멸망 #소행성 #불의고리 #다큐멘터리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213&hcd&key=202211110917098143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0

칙술루브 충돌에서 발생해 전 지구를 휩쓴 쓰나미, 최초로 글로벌 시뮬레이션 6,600만 년 전 지구를 강타한 약 10km 크기의 소행성은 공룡을 포함한 지구 동식물의 75%가량을 멸종시켰다. 미국 미시간대를 중심으로 한 연구팀의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칙술루브 충돌구를 만든 소행성 충돌은 수천 미터 크기의 파도를 동반한 전 지구적인 쓰나미를 일으켰다. 해당 연구는 미국지구물리연맹 학술지인 ‘AGU 어드밴시스(AGU Advances)’에 10월 4일자로 게재되었다.

649

[팟빵] 과학으로 장난치는게 창피해? [시즌4] [17회] 여섯 번째 인류 대멸종에서 살아남기! 기후위기 속 인간의 역할은?(G. 이정모 관장)

0

대략 1900만 년 전에 상어들이 대량으로 멸종한 것으로 밝혀졌다. 상어 대멸종 사건은 오늘날보다 10배 이상 많은 상어가 세계의 바다를 돌아다니던 시기에 일어났다.

0

찰스 다윈은 기념비적 저작인 ‘종의 기원’에서 자신의 진화 이론을 다음과 같이 말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 행성이 고정된 중력 법칙에 따라 순환하는 동안 아주 단순한 시작에서부터 가장 아름답고 멋진 무수한 형태들이 나타났고, 지금도 형성되고 있으며, 진화하고 있다.”

0

지난해 덴마크기상연구소(DMI)의 기후학자인 ‘스테펜 올센(Steffen Olsen)’ 박사는 그린란드에서 촬영한 사진을 공개해 전 세계에 충격을 준 바 있다. 여러 마리의 썰매개들이 달리고 있는 장소가 설원이 아닌 물 위였기 때문이다.

0

러시아 우랄산맥 동쪽부터 북쪽의 타이미르반도에 이르기까지 약 390만㎢ 넓이의 지역에는 거대한 현무암질의 용암 대지가 펼쳐져 있다. 일명 ‘시베리아 트랩’이라고 불리는 이곳은 유럽연합(EU)와 거의 맞먹을 만큼 넓은 지역이 모두 400~3000m 두께의 현무암으로 덮여 있다.

0

약 45억년에 달하는 지구 역사에는 생물 종이 한꺼번에 광범위한 지역에서 사라지는 대멸종 사건은 여러 차례 있었다. 화석을 통해 확인되는 이런 대멸종은 약 6600만년 전 공룡 대멸종 때처럼 소행성이나 운석이 떨어지거나 대형 화산이 연쇄적으로 폭발하는 등의 물리적인 대형 재해가 직접적인 원인일 때가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