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여지도

93

사이언스 탐험 단원들을 만나 지구탐험을 시작한 올리와 베리😃😸 대동여지도가 훌륭한 지도라서 독도를 그리지 않았다고?

84

조선 시대 교통로 등 상세한 지리정보를 손글씨로 적어놓은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목판본이 일본에서 환수돼 처음으로 공개됐습니다. 문화재청은 오늘 오전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최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을 통해 일본에서 국내로 들여온 대동여지도 갑자본을 공개했습니다. 이 지도는 목록 1첩과 지도 22첩 등 모두 23첩으로 구성돼 있는데 병풍식으로 접을 수 있고, 펼칠 경우 길이 약 6.7m, 너비 약 4m에 달합니다. 1864년 제작된 목판본을 색칠하고 지도 여백에 '대동여지도'의 저본, 즉 기초자료인 '동여도'의 지리정보를 적어넣은 것으로, 목판본 대동여지도의 한계를 보완한 첫 판본으로 평가됩니다. 예를 들어 백두산 일대를 묘사한 제2첩의 경우 '대동여지도' 판본에 없는 '백두산정계비'와 군사시설 간의 거리가 적혀 있고, 제14첩에는 '대동여지도'에는 적혀 있지 않은 울릉도로 가는 배의 출발지 등 상세한 지리정보가 적혀 있습니다. '대동여지도'는 목판에 새겨야 하는 한계로 많은 지명과 주기 내용 등이 생략돼 있는데 '동여도'는 당시 교통로와 군사시설 등 지리정보와 약 만8천여 개에 이르는 지명이 실려 있고, 여백에 영토의 역사와 지도사용법 등이 필사돼 있습니다. 이번 환수는 일본에 있는 유물 소장자가 매도 의사를 밝혀 그 존재가 확인된 뒤 문화재청의 행정지원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의 수차례 조사를 거쳐 이달 17일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했습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공개된 대동여지도가 국내에서 최초 확인된 '동여도'의 주기 내용이 필사된 '대동여지도' 판본이라는 점에서 조선의 지도 제작과 활용을 살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 시대 지리정보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2910

살랑살랑 실사구시의 새바람! 백성들의 실생활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개혁이 시작되었다! 실학자 정약용의 거중기부터 조선판 CSI 비하인드 스토리, 그리고 대동여지도, 최초의 백과사전 등장까지. 무궁무진한 실학의 세계가 펼쳐진다.

0

국토지리정보원은 최근 대한민국 국가지도집을 발간하면서, 국내·외에 본격적인 배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간된 지도집은 지난 2014년에 확정된 ‘국가지도집 발간 중장기 계획’에 의거하여 제작됐다. 대한민국 국가지도집은 총 3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1123

과학성, 정밀성, 실용성 갖춘 근대적 지도, 대동여지도. 위대한 과학유산입니다.

2129

대동여지도에서 GPS까지, 측우기에서 수문 레이더까지, 금속활자에서 3D 프린터까지. 수천 년 전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발전을 거듭해 온 기술의 변천 과정! 지금, <이지 사이언스>에서 확인하세요.

2336

조선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이며 1861년 (철종12)에는 혼자의 힘으로 <대동여지도> 22첩을 판각하여 간행하였다. 조선 후기의 실학자·지리학자. 자 백원(伯元)·백온(伯溫). 호 고산자(古山子). 본관 청도(淸道). 황해도 출신. 조선의 지도와...

3840

고지도를 과학적으로 완성한 지리학자, 김정호(1804~1866) 청구도, 동여도, 대동여지도 3대지도 제작 그 중 '대동여지도'는 조선 지도학의 절정을 이룬 성과물. 기호를 사용해 누구나 알기 쉽게 표현, 10리마다 점을 찍어 거리측정 가능. 유클리드 기하학을 공부 정확한 측량으로 지도 제작 체계화된 과학 기법으로 조선의 국토체계를 세운 김정호 (1804~1866)

1813

조선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이며 1861년 (철종12)에는 혼자의 힘으로 <대동여지도> 22첩을 판각하여 간행하였다.

2336

1861년(철종12)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우리나라의 대축척지도로 보물 제850호로 지정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