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결정

230

금속 구리로 단결정을 만드는 원리 #금속 #구리 #단결정

164

잡음이 생기지 않는 스피커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단결정으로 다양한 시도를 하여 구리 단결정으로 좋은 음질을 만들어 낸 정세영 교수. 그의 연구실인 단결정 은행까지 알아보자. ======================================== ※ Full 영상 ▶ https://youtu.be/7RTN9_XH8nY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단결정 #구리 #구리단결정 #오디오 #스피커 구리 단결정의 활용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208121633549742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141

전 세계 관심을 받은 단결정 박막 연구 #단결정 #다결정 #박막

117

다양한 단결정 육성기술을 바탕으로 나노소재 개발을 이끌어가고있는 정세영 교수와 함께 구리로 단결정을 만들어보자. ======================================== ※ Full 영상 ▶ https://youtu.be/7RTN9_XH8nY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단결정#구리#과학연구#과학#다결정 단결정이 만들어지는 원리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208121627248671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176

■ 정세영 / 부산대학교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교수 대한민국을 이끌어간 과학계의 주역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백 스물 여섯 번째 주인공은 부산대학교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의 정세영 교수이다. 구리는 연성과 전성이 우수하고, 전기와 열의 전도성이 뛰어나 우리의 일상에서 흔하게 쓰이는 재료지만 산화가 되며 부식이 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구리의 단점을 보완해 녹슬지 않는 구리를 개발한 과학자가 있다. 바로 부산대학교의 정세영 교수다. 녹슬지 않는 구리가 어떻게 가능한 걸까? 비밀은 바로 단결정에 있다. 단결정이란 전체 원자들이 일정하게 한 방향으로 배열이 된 것을 말하는데, 결정 구조에 있던 결함이 사라지기 때문에 구리의 산화를 유발하는 산소가 표면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되어 산화가 되지 않는 것이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단결정을 직접 성장시키며 연구소에 150여 종의 단결정을 보유하고 있는 정세영 교수. 또한 성장시킨 결정 시료를 국내 연구자들에게 공급해주고 있다는데. 그뿐만이 아니다. 정년을 목전에 두고 늦깎이 연구자의 길을 선택한 정세영 교수는 단결정을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기 위해 여러 과학자와 공동연구도 쉼 없이 해오고 있단다. 녹슬지 않은 열정으로 오늘을 살아가는 그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단결정 #구리 #과학기술 #과학자 녹슬지 않는 구리를 만들다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394&s_hcd&key=202206281109375877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541

규소 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결정

2518

단결정(單結晶)에 의한 X선, 입자빔의 회절(回折)이 나타나는 방향을 결정하는 조건을 말한다.

2791

단결정(單結晶)에 의한 X선의 회절상(回折像)을 촬영하는 방법. 1912년에 M. 라우에가 개발했다.

1635

역공간(逆空間)에서의 구조진폭(構造振幅)의 절대값을 말한다.

4466

단결정 박판에선 모양의 연속X선을 입사시킬 때 판의 뒤쪽에 놓아둔 사진건판 위에 나타나는 간섭무늬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