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전지

5118

산화반응과 환원반응이 일어나는 부분을 염다리·격막 등으로 분리시켜 놓음으로써 전자가 도선을 통해 이동하도록 만들어 놓은 장치로, 산화반응과 환원반응이 일어나는 각 부분이 반쪽전지이다. 보통 구리와 아연으로 많이 사용된다.

2063

영국의 화학자 ·기상학자. 런던 출생. 1813년 23세로 왕립협회 회원이 되었고, 이슬점습도계의 발명(1820)을 포함한 기상학의 논문집을 발표하였다. 또한, 볼타전지, 특히 그 기전력 감쇠의 원인에 관하여 연구하여 비교적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다니엘전지를 고안하였다.

2001

영국의 화학자 ·기상학자. 런던 출생. 1813년 23세로 왕립협회 회원이 되었고, 이슬점습도계의 발명(1820)을 포함한 기상학의 논문집을 발표하였다. 또한, 볼타전지, 특히 그 기전력 감쇠의 원인에 관하여 연구하여 비교적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다니엘전지를 고안하였다.

2370

외부의 직류 전원에서 방전과 반대방향으로 전류를 흘려보내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는 전지를 말한다.

1730

아연판과 구리판을 도선으로 연결하면 전자의 이동이 일어나는 전지이다.

10360

황산아연과 황산구리 수용액을 전해액으로 하고 음극에 아연, 양극에 구리를 사용한 전지. 일차 전지의 하나로서 영국의 J. F. 다니엘이 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