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과학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뇌과학

145

대한민국을 이끌어간 과학계의 주역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백 일흔네 번째 주인공은 한양대학교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임창환 교수이다.

132

뇌 과학은 연산 가능한 원칙을 추상화하고 AI를 통해서 그 원칙이 어떤지 밝혀낼 수 있다. 지능이 뇌에서 어떤 식으로 작동하는지를 보면 뇌를 이해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119

■ 우충완 / 기초과학연구원 뇌과학이미징연구단 부연구단장 대한민국을 이끌어간 과학계의 주역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백 예순아홉 번째 주인공은 기초과학연구원 뇌과학이미징연구단의 우충완 부연구단장이다. 동물과 사람의 뇌의 기능과 구조를 연구하는 뇌과학이미징연구단. 이곳에 뇌 연구를 통해 사람의 몸과 마음 상태를 보여주는 과학자가 있다. 기초과학연구원의 우충완 박사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전세계 인구의 약 20% 가량이 앓고 있는 만성통증. 하지만 사람마다 통증의 정도가 다르고, 그 판단도 주관적이어서 진단과 치료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우충완 박사는 보이지 않는 통증을 수치화했다. 사람에게 열과 캡사이신 통증 자극을 주어 그 자극에 반응하는 뇌의 활동을 자기공명영상(MRI) 기계를 통해 확인해낸 것. 이는 통증 진단과 치료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426

📺드라마 ‘유미의 세포들‘ 로 배우는 뇌과학! 응큼세포와 연애세포, 실제로 있을까? 프라임 세포가 죽으면 어떻게 될까? 시간이 지나면서 사람의 성격이 변하는 이유는?🤔

141

뇌를 감싸고 있는 얇은 보호막인 뇌막이 노화에 따라 기능을 잃어가는 과정이 규명됐습니다. KAIST 연구팀은 생쥐 실험 결과 오랜 당 섭취로 인해 몸속에 당이 과하게 축적되면, 몸속을 돌아다니던 당 분자가 뇌막에 달라붙어 뇌막 기능을 망가뜨린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당이 부착된 뇌막은 단단하고 끈적해지며 투과성이 나빠진다며, 이에 따라 뇌막의 주성분인 콜라겐이 감소하면서 점점 붕괴해 기능을 잃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139

뇌졸중 발병 이후 신체마비가 와 지난 9년간 왼팔을 움직이지 못했던 여성입니다. 최근엔 양손에 포크와 나이프를 들고 스테이크를 자르고, 설거지도 할 수 있게 됐습니다. 미국 연구진이 여성의 척수에 전자 칩을 심고 자극을 줘서 팔을 의지대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데 성공한 겁니다. 연구진은 마비 부위와 중증도에 따라 척수의 어떤 부위를 자극해야 하는지 알아보는 추가 연구를 하겠다는 계획입니다.

88

광섬유를 통해 뇌에 빛을 쪼여 특정 부위를 활성화하거나 억제할 수 있도록 만든 실험용 생쥐입니다. 이 생쥐가 자는 동안 주황색 파장의 빛을 쪼여 뇌 특정 부위의 기능을 억제했습니다. 그러자 알람 소리를 들려줘도 생쥐가 잠에서 깨어나지 않습니다. 알람 소리를 들려줘도 생쥐가 잠에서 깨지 않는 건 각성에 관여하는 배내측 시상핵을 억제했기 때문입니다. 이번에는 수면 중인 쥐에 녹색 파장의 빛을 쪼여 배내측 시상핵을 자극했습니다. 그러자 알람 소리가 없어도 생쥐가 잠에서 깨어납니다. 배내측 시상핵을 자극한 것이 실제 자명종 소리를 들려준 것과 같은 효과를 낸 것입니다. 카이스트 연구진은 이를 통해 동물이 깨어 있을 때와 잠을 자는 동안에 청각 신호에 반응하는 뇌 신경회로가 다르다는 점을 새롭게 규명했습니다.

123

복잡한 인간을 이해하는 가장 핵심적인 도구인 뇌 과학! 뇌 연구를 활용한 관련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지금, 뇌 과학의 새로운 연결과 미래 뇌 산업 발전을 위한 세계적인 석학의 분석과 전망을 들어본다

273

#대한민국과학축제 #과학 #리마인드사이언스 #장동선 #뇌과학 #인공지능 #인류의미래 🎥 [영상소개] 어떠한 미래를 만들 것인가 📜 [내용소개] 2022 대한민국과학축제를 빛낸 대표 과학강연을 통해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리마인드사이언스' 네 번째 강연! 📺 [출연자] 궁금한뇌연구소 장동선 박사

510

소변을 참으면 거짓말을 훨씬 더 잘한다 #사이언스프렌즈 #황당연구 #소변과거짓말 #뇌과학 #과학쇼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