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기초과학의 힘, 2부』
노벨상 배출 강국
한국과 무엇이 다른가
노벨상 수상자를
가장 많이 배출 나라는 어디일까요?
노벨상 세계 최강대국, 미국..
지금까지 배출한 노벨상 수상자만
400명입니다.
2위는 영국 137명,
3위는 독일 113명 배출로
위 세 국가만이 백 명 이상의 수상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경우,
우수한 기초과학 기술력은 기본이고
전 세계 뛰어난 과학 인재들의
미국 이민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그럼 아시아 국가 중,
노벨상 수상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나라는
전 세계 7위를 기록 중인 일본인데요,
과학분야 26명 포함 총 29명이다.
일본은 서구권에 비해 출발은 늦었지만,
19세기 후반 메이지 유신 이후
기초과학 육성에 집중했고,
당장의 성과보다는 장기적으로 플랜으로
응용과학이 아닌 물리학과 화학 등
기초과학 분야의 인재 양성에 적극적이었습니다,
때문에 젊은 인재들이
마음껏 연구에 매진할 수 있었고
지금의 과학 선진화의 결실을 맺을 수 있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독일의 노벨상 사관학교인
막스플랑크 연구소는 한국과학계와
무엇이 다를까요?
한국 과학은 역사가 깊지는 않지만
빠른 발전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노벨상만 염두해보았을 때
분명 문제점이 있을텐데요,
세계 노벨상 배출 강국과
한국 과학계를 비교하고 무엇이 다른지
다큐S프라임에서 확인해보세요~!
== 2부 ====================================
00:00 | 인트로
00:09 | 노벨상 수상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나라
00:19 | 국가별 노벨상 수상자
00:38 | 노밸상 배출 강국 ①, 미국
01:00 | 노밸상 배출 강국 ②, 일본
02:25 | 한국의 과학
03:46 | 세계 상위 1% 한국 과학자수
04:13 | 노벨과학상에 근접한 한국의 과학자
09:45 | 한국 신진 과학자들의 연구환경
12:01 | 한국의 구조생물학의 연구
13:46 | 노벨상 사관학교 '막스플랑크 연구소'
16:58 | 기초과학연구 지원사업예산 확대
========================================
[1부]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의 평균연구기간, 31.2년
▶ https://youtu.be/7yhU7mBY_fI
[3부] 우주의 비밀 풀기 위해 만든 1,000m 지하실험센터
▶ https://youtu.be/Fkt2CegE3Fo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노벨상 #노벨과학상 #과학 #기초과학 #YTN사이언스
노벨상, 기초과학의 힘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213&hcd&key=202210281111239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