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 Part 4

노벨상

904

[팟빵] 과학으로 장난치는게 창피해? [시즌4] [13화] 노벨상 수상자가 예측한 '액체 금속의 전자 구조' 발견! (f. 김근수 교수)

0

기초과학의 연구대상인 우주, 생명, 자연의 본질을 향한 해답을 찾아가는 과학자들! 우주에서 인간에 이르기까지 기초과학의 전반적인 연구에 대해 소개합니다.

0

외산장비에 의존하던 우리나라 실험실 속 연구장비! 연구장비 국산화를 통한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진정한 자립과 경쟁력 강화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0

올해 과학 분야 노벨상의 특징 중 하나는 여성 과학자가 두 분야에 걸쳐서 3명이나 배출된 점이다. 이제 과학 분야 노벨상을 받게 된 여성 과학자는 모두 23명이 되었는데, 그나마 노벨생리의학상이 과학 분야 전체 여성 수상자의 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상대적으로 많았다.

0

1947년 트랜지스터(transistor)가 개발되지 않았다면 오늘날의 반도체와 컴퓨터도 없었다. 트랜지스터는 컴퓨터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부품이라 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의 발명으로 인해 전자기기들은 비로소 지금과 같은 모습의 초소형화를 이룰 수 있게 됐다.

0

노벨 물리학상은 지난 120년 동안 단지 4명의 여성 수상자만을 배출했다. 올해 블랙홀을 증명해낸 공로를 인정받아 공동 수상한 앤드리아 게즈(Andrea Ghez)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UCLA) 교수까지 포함한 숫자다.

0

빛은 파동이자 입자이다. 1905년 아인슈타인은 빛을 금속 표면에 쪼였을 때 전자가 튀어나오는 광전효과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며 빛이 입자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물리학자는 그의 말을 믿지 않았다. 당시만 해도 빛은 파동이라고만 믿고 있었으니까.

914

[존 구디너프 (97세·미국) / 미국 텍사스대 교수·노벨 화학상 수상자] 저는 이런 특별한 날을 위해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기대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오늘이 온 것이 정말 기쁩니다. 이렇게 인정받는다는 것은 정말 좋은 일입니다.

719

우주와 우리의 기원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여러 단계 중에 일부에 대해서 좋은 연구 성과에 (노벨상이) 주어진 것 같습니다. 2000년대가 지나면서 4년에 한 번씩 우주 연구가 노벨상 받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기술이 발달하다 보니까 우주를 연구하는 방법이 발전하고 우주에는 연구할 거리가 무궁무진하지 않습니까? 그렇기 때문에 최근 들어 우주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