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296

노벨상을 3번이나 받은 신기술 레이저 #노벨상 #레이저 #레이저기술

418

펨토초 레이저는 전기 전도도가 CO2 레이저에 비해 5배 우수하다고 한다. 3차례나 노벨상을 받은 신기술 '펨토초 레이저'. 펨토초 레이저에 대해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duEXaO0T9Dk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펨토초레이저 #노벨상 #레이저 #전도체 #한국과학기술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204261630484786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324

시대를 대표하는 과학자들. 그렇다면 대한제국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 한국을 대표하는 과학자는? 우리 머릿속에 딱! 떠오르는 과학자가 많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죽음의 상인이 죽었다.’ 과학자 꿈의 무대, 노벨상은 한 신문의 오보 기사로 시작되었다? 노벨상의 시작부터 DDT, 전두엽 절제술, 암모니아 합성법의 발견까지! 노벨상을 둘러싼 이야기들은? 우리에게 편리한 삶을 제공하는 과학 기술. 하지만, 때때로 윤리 기준과 부딪히기도 하는데. 과학자는 과학 기술에 대한 윤리 판단을 할 수 있을까? 특별한 사람들과 함께하는 과한토크. 우리 삶 깊숙이 들어와 있는 과학의 비하인드 스토리에 관해 이야기 나눠보자. 오늘도 커피 한잔할까요? 00:00 과학사 비하인드 스토리 01:16 찰스 다윈 서거일, 과학의 날! 📆 04:04 과학의 날 맞이, 어둡지만 꼭 알아야 할 아주 특별한 이야기🌌 11:38 🌒 36년, 어둠 속을 걷던 시간. 🕯스스로 촛불을 켰던 12명의 과학 박사 18:18 과학자의 꿈과 희망, 노벨 과학상! 그 비하인드 스토리 22:50 결코 낭만적이지 않은 노벨상 속 감춰진 비밀 🤫 26:40 인류를 구원한 살충제의 배신, 파울 헤르만 뮐러와 DDT 30:30 자만심이 저지른 실수 🧠 신경과 의사와 전두엽 절제술 33:49 구원자의 탈을 쓴 악마? 두 얼굴의 과학자, 프리츠 하버 😈 37:21 🔬실험식 속 비윤리적 실험, 누구를 위한 연구인가! 42:45 시행착오를 통한 발전, 양날의 검을 쥔 과학자들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한국의과학자 #노벨상 #DDT #과학윤리 #연구윤리 #나치 과학 비하인드 스토리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475&s_hcd=&key=202204201004562416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429

영재교육은 잠재성 발굴을 위해 모든 아이에게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한편, 대한민국의 입시 위주의 교육은 과학 인재 양성을 저해하고 있는데... 영재교육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자. ▶full영상: https://youtu.be/2BKvBFSw_w4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영재교육 #노벨상 #기초과학 #노벨과학상 누가 영재가 되는 것일까?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112091416599200

427

2021년 10월, 전 세게의 주목이 스웨덴으로 향한다. 바로 노벨과학상 수상자 발표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아직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 노벨과학상에 대한 열망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 노벨과학상은 어떻게 선정돠고 어떤 과학자가 수상하는지, 또 한국에서 수상자는 나올 수 있는지 살펴본다. 노벨상은 스웨덴의 화학자인 알프레드 노벨에 의해 만들어진 상이다. 1895년 인류에게 가장 많은 공헌을 한 사람에게 상과 상금을 수여하라는 유언을 남기면서 노벨상이 탄생되었다. 한국에도 노벨상 시상식에 초대받은 과학자가 있다 바로 박영우 교수다. 2000년도에 한국인 학자로 처음 노벨상 수상 연구업적에 참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시상식에 공식 초청을 받았다. 또한 노벨과학상 후보자로 현택환 교수나, 유룡 교수, 김빛내리 연구단장도 꾸준히 거론되는 후보자들이다. 사실 노벨과학상을 가장 많이 수상한 나라는 미국이다. 미국은 순수과학연구를 해온 오랜 역사와 많은 투자로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해왔고, 결과적으로 많은 과학자들이 노벨과학상을 수상해 왔다. 물론 한국에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한 석상일 교수를 비롯해 에너지 하베스팅기술을 개발한 백정민 교수, 시스템 대사공학의 선구자로 알려진 이상엽교수 등이다. 세계를 선토하는 한국의 과학기술은 무엇인지, 그리고 노벨과학상에 근접한 과학자들은 누구며, 이들은 어떤 연구로 인류에 공헌하고 있는 지 살펴본다. #노벨 #노벨과학상 #과학자 #한국과학기술 #노벨상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214&s_hcd=&key=202110260912421280

534

알프레드 노벨은 어떻게 고체화약인 다이너마이트를 만들었고 또 노벨상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볼까요? #노벨 #노벨상 #다이너마이트 #화약

821

[팟빵] 과학으로 장난치는게 창피해? [시즌4] [13화] 노벨상 수상자가 예측한 '액체 금속의 전자 구조' 발견! (f. 김근수 교수)

0

기초과학의 연구대상인 우주, 생명, 자연의 본질을 향한 해답을 찾아가는 과학자들! 우주에서 인간에 이르기까지 기초과학의 전반적인 연구에 대해 소개합니다.

0

외산장비에 의존하던 우리나라 실험실 속 연구장비! 연구장비 국산화를 통한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진정한 자립과 경쟁력 강화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0

올해 과학 분야 노벨상의 특징 중 하나는 여성 과학자가 두 분야에 걸쳐서 3명이나 배출된 점이다. 이제 과학 분야 노벨상을 받게 된 여성 과학자는 모두 23명이 되었는데, 그나마 노벨생리의학상이 과학 분야 전체 여성 수상자의 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상대적으로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