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153

기발하고 엉뚱한 연구상 괴짜 노벨상 #노벨상 #괴짜노벨상 #과학자

160

이휘소 박사는 게이지 이론뿐 아니라 참 쿼크 존재의 가능성을 예견하였다. 참 쿼크의 질량, 찾는 방법까지 논문을 발표하였고 그가 예견한 대로 해당 입자가 실제로 발견되었다. 그의 논문을 통해 연구를 확장한 버튼 리히터, 사무엘 팅이 노벨 물리학상 수상하게 되며 이휘소 박사 역시 노벨상 메이커로 이름을 알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YmkxRLTav54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이휘소 #이휘소박사 #노벨상 #노벨상메이커 #참쿼크 수많은 과학자들의 귀감이 된 노벨상 메이커, 이휘소 박사 이야기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_hotclip.php?mcd=1185&key=202210281640485584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

[기고] 물리학 연구소인 ‘캐븐디시 연구소’의 DNA 발견 지난 달에 한국물리학회가 부산에서 개최되었다. 오랜만에 온라인이 아닌 학회에서 쟁쟁한 분들의 현장 강연을 들을 수 있었다. 2016년 노벨상 수상자인 던컨 홀데인(Duncan Haldane) 교수가 마지막 날 기조 강연을 하면서 젊은 물리학도들에게 자신의 경험과 조언을 남겼다.

297

17세의 나이로 서울대 화학공학과 입학한 이휘소는 미국 마이애미 대학에서 유학 생활 시작, 1년 만에 졸업하였고, 아인슈타인, 괴델, 오펜하이머, 폰 노이만 등이 활동했었던 프리스턴 고등 연구소에서 연구 회원 활동을 하며 논문을 낼 때마다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그의 가장 큰 업적은 게이지 이론의 재규격화를 수학적으로 계산한 것인데, 이는 어떤 것인지, 이휘소 박사의 이야기를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YmkxRLTav54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게이지이론 #이휘소 #이휘소박사 #노벨상 #노벨물리학상 게이지 이론의 재규격화를 수학적으로 계산한 이휘소 박사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_hotclip.php?mcd=1185&key=202210281612199524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405

올해 한국 과학계는 전성기를 맞이했다. 국내 기술로 개발한 우주발사체 누리호가 최종 성공을 거뒀고 우리나라 독자 기술로 만든 방산 무기들은 세계 시장에 우뚝 섰으며, 한국이 낳은 수학자 허준이 교수는 수학계 노벨상이라는 필즈상을 품에 안기도 했다. 하지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은 과학계의 오랜 숙원이었던 2022 노벨상 수상자 명단에서 한국인 과학자의 이름을 찾아볼 수 없었던 것. 특히 이번에는 유력 후보로 거론된 인물도 없어 더욱 아쉬움이 컸는데. 우리나라 과학 기술이 비약적인 성장을 이뤄나가고 있는 지금! 노벨상의 이름으로 그 가치를 더 당당하게 인정받을 수 있으려면 어떤 노력이 더 필요한 것일까. 노벨상 수상의 가치를 넘어 기초과학 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길을 함께 모색해 본다. YTN 사이언스 박인식 (ispark@ytn.co.kr) #노벨상 #노벨과학상 #과학 #다큐멘터리 #YTN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213&hcd&key=202210281111239904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24

노벨상 시즌인 10월, 올해는 누가 수상하게 될지 전 세계가 주목하는 가운데 특별한 이벤트가 열렸다. 바로 '이그노벨상 시상식' 일명 괴짜 노벨상이다. 올해의 이그노벨상을 살펴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YmkxRLTav54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이그노벨상 #괴짜노벨상 #노벨상 #물리학상 #문학상 기발하면서 잉여스러운 연구에 주는 이그노벨상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_hotclip.php?mcd=1185&key=202210281553244321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81

『노벨상, 기초과학의 힘 3부.』 강원도 정선, 기초과학연구원 우주의 비밀 풀기 위해 만든 1,000m 지하실험시설 현대 물리학은 우주에서 인류가 알고 있는 물질이 전체 4.9% 불과하다고 설명합니다. 중력이 있지만 빛을 내지않는 존재.. 즉 암흑물질이 우주의 26.8% 차지하고 나머지는 중력대신 밀어내는 암흑에너지라고 추정하고 있다. 암흑물질은 1930년대 초, 스위스 천체물리학자 프리츠 츠비키가 은하 질량을 관측하면서 눈에 보이지 않는 질량의 존재가능성을 제시했는데요 그것을 암흑물질이라고 불렀습니다. 암흑물질은 세계 과학자들이 우주 기원을 밝히기 위해 풀어야 할 핵심 과제이자 노벨 물리학상 0순위로 꼽히는 연구입니다. 미국과 유럽들은 30여 년 전부터 암흑물질 연구를 시작했지만 아직까지 어떤 과학자도 암흑물질의 정체를 밝혀내지 못했습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일본 과학자들은 2015년 지하실험실에서 다른 물질과 거의 반응하지 않는 중성미자를 발견해 노벨상을 받기도 했습니다. 중성미자는 우주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입자인데요 빛 입자인 광자 다음으로 많은 중성미자는 태양 중심부에서 핵융합 반응 때마다 1초 당 700억 개가 배출되는데요 하지만 질량이 거의 없고 타 물질과 상호작용이 없어 발견하기 쉽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유령입자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습니다. 현재 인류가 알고 있는 중성미자는 전자중성미자, 타우중성미자, 뮤온중성미자이지만 과학자들은 또 다른 종류의 중성미자가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세 종류의 중성미자의 질량 차이만 알고 있을 뿐 정확한 질량도 파악하지 못한 상태다. 우리 대한민국 과학계도 중성미자와 암흑물질에 대한 비밀을 풀기 위해 강원도 정선에 초거대 지하실험시설을 만들었는데요, 무려 1,000m 깊이의 세계 6위급 고심도 지하실험시설이라고 합니다. 전 세계 과학들이 우주 기원을 밝히기 위해 풀어야 할 과제이자 노벨물리학상 0순위 연구 과제 암흑물질과 중성미자 그리고 한국의 고심도 지하실험시설 예미랩을 다큐S프라임에서 만나보세요~! == 3부 ==================================== 00:00 | 우주 비밀을 풀기위한 지하실험연구단 00:19 | 노벨물리학상 0순위 연구 분야, 암흑물질 01:22 | 일본의 중성미자 연구와 노벨상 수상 02:00 | 중성미자란? 03:40 | IBS 지하실험연구, 암흑물질 검출 '코사인'실험 04:49 | 강원도 정선, 초대형 지하실험실 예미랩 06:51 | 예미랩 임무 07:17 | 우주 초기 생성의 비밀을 풀 중성미자 08:32 | 기초과학연구의 필요성 09:33 | 국내외 과학계가 한 자리에 모인 교류의 장 ======================================== [1부]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의 평균연구기간, 31.2년 ▶ https://youtu.be/7yhU7mBY_fI [2부] 노벨상 배출 강국, 한국과 무엇이 다른가 ▶ https://youtu.be/-rnx5c9SQsw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지하실험연구 #암흑물질 #중성미자 #노벨상 #기초과학 노벨상, 기초과학의 힘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213&hcd&key=202210281111239904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60

『노벨상, 기초과학의 힘, 1부』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의 평균 연구 기간, 31.2년 2022년 한국 과학계는 전성기를 맞이했습니다. 2022년 6월, 국내 기술로 개발한 우주발사체 누리호가 최종 성공을 거두었고, 2022년 8월에는 대한민국 최초 달 궤도선 다누리호 역시 미국 플로리다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습니다. 또한 한국 독자 기술로 만든 방산 무기들은 세계 시장에 우뚝 섰고, 한국이 낳은 수학자 허준이 교수는 제2의 노벨상이라는 필즈상을 수상했죠. 하지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은 2022년 노벨상 수상자 명단에서 한국인 찾아 볼 수 없었습니다. 특히 이번에는 유력 후보로도 거론된 인물이 없어 아쉬움이 더욱 컸습니다. 1년 동안 이류에 가장 큰 기여를 한 이물에게 수여되는 노벨상.. 노벨상의 이름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으려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할까요? 다큐S프라임 『노벨상, 기초과학의 힘』에서 알아봅니다. == 1부 ==================================== 00:00 | 인트로 02:55 | 노벨상 유래 및 소개 06:05 | 2022 노벨생리의학상 09:08 | 2022 노벨화학상 11:01 | 2022 노벨물리학상 16:50 |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의 평균 연구 기간 ======================================== [2부] 노벨상 배출 강국, 한국과 무엇이 다른가 ▶ https://youtu.be/-rnx5c9SQsw [3부] 우주의 비밀 풀기 위해 만든 1,000m 지하실험센터 ▶ https://youtu.be/Fkt2CegE3Fo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노벨상 #노벨과학상 #과학 #기초과학 #YTN사이언스 노벨상, 기초과학의 힘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213&hcd&key=202210281111239904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0

네안데르탈인, 데니소바인, 그리고 현생인류간의 연결점 증명 노벨상의 시즌이 돌아왔다 매년 9월 말이 되면 전 세계 유수 언론사들은 다양한 노벨상 부분에서 수상자를 예측하기 시작한다. 특히, 글로벌 학술정보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는 2002년부터 매년 논문 피인용을 기반으로 노벨상 수상이 유력한 후보(Citation Laureates)를 선정해 발표해왔다.

459

최초의 노벨상은 실수로 주게 되었다?! 고무 연구에 평생을 바친 남자부터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한 전자레인지의 발견까지. 이 모든 혁명에는 ‘실수’가 존재했다고 하는데, 과연 어떤 일이 벌어졌던 걸까? 특별한 사람들과 함께하는 과한토크. 오늘은 실수가 빚어냈다고 여겨지는 특별한 순간들, 실수로 이뤄낸 과학혁명에 관해 이야기 나눠보자. 우리 커피 한잔할까요? ========================================== 00:00 | INTRO 02:42 | 실수와 실패의 차이는? 06:29 | 고무 연구하다 대통령이 된 과학자? 08:51 | 합성고무 제조 실패로 탄생한 나일론?! 09:33 | 코팅 프라이팬 탄생 과정 10:05 | 사카린의 탄생 과정 11:09 | 화학 실험, 실수로 인한 성공이 많은 이유는? 13:12 | 별에서 금이 만들어진다? 14:56 | 노벨상에서 실수에 대한 기준이 있을까? 16:08 | 인류 최초의 X-선 사진 17:16 | 실수로 발명한 노벨의 다이너마이트 20:07 | 실수로 발견된 항생제? 22:46 | 휴가로 발견한 헬리코박터균? 27:16 | 전자레인지 탄생 과정 30:07 | 전자기파가 사람 몸에 안 좋을까? 32:27 | 우주 탄생에 숨겨진 비밀은? 36:15 | 오랜 시간 뜨거운 감자였던 천동설 41:25 | 과학자의 끈기로 결과를 낸 사례는? 43:38 | 과학자의 연구에서 실수와 실패란? ========================================== #노벨상 #과학혁명 #아인슈타인 #합성고무 #노벨상수상자 아차, 실수! 그런데 과학혁명?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475&s_hcd&key=202209210806281643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