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과학상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노벨과학상

92

노벨상 수상자 가장 많이 배출한 나라 #노벨상 #노벨과학상 #노벨상수상

93

아시아에서 노벨상 가장 많이 배출한 나라 #노벨상 #노벨과학상 #노벨상수상

324

올해 한국 과학계는 전성기를 맞이했다. 국내 기술로 개발한 우주발사체 누리호가 최종 성공을 거뒀고 우리나라 독자 기술로 만든 방산 무기들은 세계 시장에 우뚝 섰으며, 한국이 낳은 수학자 허준이 교수는 수학계 노벨상이라는 필즈상을 품에 안기도 했다. 하지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은 과학계의 오랜 숙원이었던 2022 노벨상 수상자 명단에서 한국인 과학자의 이름을 찾아볼 수 없었던 것. 특히 이번에는 유력 후보로 거론된 인물도 없어 더욱 아쉬움이 컸는데. 우리나라 과학 기술이 비약적인 성장을 이뤄나가고 있는 지금! 노벨상의 이름으로 그 가치를 더 당당하게 인정받을 수 있으려면 어떤 노력이 더 필요한 것일까. 노벨상 수상의 가치를 넘어 기초과학 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길을 함께 모색해 본다. YTN 사이언스 박인식 (ispark@ytn.co.kr) #노벨상 #노벨과학상 #과학 #다큐멘터리 #YTN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213&hcd&key=202210281111239904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173

『노벨상, 기초과학의 힘, 2부』 노벨상 배출 강국 한국과 무엇이 다른가 노벨상 수상자를 가장 많이 배출 나라는 어디일까요? 노벨상 세계 최강대국, 미국.. 지금까지 배출한 노벨상 수상자만 400명입니다. 2위는 영국 137명, 3위는 독일 113명 배출로 위 세 국가만이 백 명 이상의 수상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경우, 우수한 기초과학 기술력은 기본이고 전 세계 뛰어난 과학 인재들의 미국 이민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그럼 아시아 국가 중, 노벨상 수상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나라는 전 세계 7위를 기록 중인 일본인데요, 과학분야 26명 포함 총 29명이다. 일본은 서구권에 비해 출발은 늦었지만, 19세기 후반 메이지 유신 이후 기초과학 육성에 집중했고, 당장의 성과보다는 장기적으로 플랜으로 응용과학이 아닌 물리학과 화학 등 기초과학 분야의 인재 양성에 적극적이었습니다, 때문에 젊은 인재들이 마음껏 연구에 매진할 수 있었고 지금의 과학 선진화의 결실을 맺을 수 있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독일의 노벨상 사관학교인 막스플랑크 연구소는 한국과학계와 무엇이 다를까요? 한국 과학은 역사가 깊지는 않지만 빠른 발전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노벨상만 염두해보았을 때 분명 문제점이 있을텐데요, 세계 노벨상 배출 강국과 한국 과학계를 비교하고 무엇이 다른지 다큐S프라임에서 확인해보세요~! == 2부 ==================================== 00:00 | 인트로 00:09 | 노벨상 수상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나라 00:19 | 국가별 노벨상 수상자 00:38 | 노밸상 배출 강국 ①, 미국 01:00 | 노밸상 배출 강국 ②, 일본 02:25 | 한국의 과학 03:46 | 세계 상위 1% 한국 과학자수 04:13 | 노벨과학상에 근접한 한국의 과학자 09:45 | 한국 신진 과학자들의 연구환경 12:01 | 한국의 구조생물학의 연구 13:46 | 노벨상 사관학교 '막스플랑크 연구소' 16:58 | 기초과학연구 지원사업예산 확대 ======================================== [1부]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의 평균연구기간, 31.2년 ▶ https://youtu.be/7yhU7mBY_fI [3부] 우주의 비밀 풀기 위해 만든 1,000m 지하실험센터 ▶ https://youtu.be/Fkt2CegE3Fo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노벨상 #노벨과학상 #과학 #기초과학 #YTN사이언스 노벨상, 기초과학의 힘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213&hcd&key=202210281111239904

162

『노벨상, 기초과학의 힘, 1부』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의 평균 연구 기간, 31.2년 2022년 한국 과학계는 전성기를 맞이했습니다. 2022년 6월, 국내 기술로 개발한 우주발사체 누리호가 최종 성공을 거두었고, 2022년 8월에는 대한민국 최초 달 궤도선 다누리호 역시 미국 플로리다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습니다. 또한 한국 독자 기술로 만든 방산 무기들은 세계 시장에 우뚝 섰고, 한국이 낳은 수학자 허준이 교수는 제2의 노벨상이라는 필즈상을 수상했죠. 하지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은 2022년 노벨상 수상자 명단에서 한국인 찾아 볼 수 없었습니다. 특히 이번에는 유력 후보로도 거론된 인물이 없어 아쉬움이 더욱 컸습니다. 1년 동안 이류에 가장 큰 기여를 한 이물에게 수여되는 노벨상.. 노벨상의 이름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으려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할까요? 다큐S프라임 『노벨상, 기초과학의 힘』에서 알아봅니다. == 1부 ==================================== 00:00 | 인트로 02:55 | 노벨상 유래 및 소개 06:05 | 2022 노벨생리의학상 09:08 | 2022 노벨화학상 11:01 | 2022 노벨물리학상 16:50 |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의 평균 연구 기간 ======================================== [2부] 노벨상 배출 강국, 한국과 무엇이 다른가 ▶ https://youtu.be/-rnx5c9SQsw [3부] 우주의 비밀 풀기 위해 만든 1,000m 지하실험센터 ▶ https://youtu.be/Fkt2CegE3Fo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노벨상 #노벨과학상 #과학 #기초과학 #YTN사이언스 노벨상, 기초과학의 힘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213&hcd&key=202210281111239904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382

영재교육은 잠재성 발굴을 위해 모든 아이에게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한편, 대한민국의 입시 위주의 교육은 과학 인재 양성을 저해하고 있는데... 영재교육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자. ▶full영상: https://youtu.be/2BKvBFSw_w4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영재교육 #노벨상 #기초과학 #노벨과학상 누가 영재가 되는 것일까?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112091416599200

395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이 한결같이 얘기하는 게 있다. 바로 기초과학이 튼튼해야 노벨과학상에 다가갈 수 있다는 것이다. 기초과학을 충실하게 배우고 과학자로 성장할 수 있는 고학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살펴본다. 한 유치원은 원생들에게 과학적 놀이를 통해 과학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유아들의 호기심을 과학적 사고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중학교에서도 과학교육은 체험과 실험위주로 교육되고 있다. 코딩과 음악과 미술과 수학의 다양한 교과목을 융합해 융합수업으로 진행된다. 학생들은 융합수업을 통해 창의적 사고력을 기르며 과학을 즐겁게 배우고 있다. 과학영재들이 모여있는 한 과학영재학교는 일찌감치 과학으로 전로를 정한 학생들이 연구에 몰두할 수 있도록 기초과학교육환경을 조성해 놓고 있다. 기초과학을 바탕으로 응용과학을 배우는 특성화고등학교도 있다. 다양한 발명과 특허를 통해 학생들이 미래 노벨과학상을 꿈꾸고 있다. 기초과학을 바탕으로 응용과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노벨과학상 후보에 거론되는 과학자들이 있다. 바로 인공지능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서창호 교수와 방관자 T세포에 대한 연구로 T세포에 대해 정의한 최제민 교수다. 서창호 교수는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하고 있으며 최제민 교수는 방관자 T세포에 대한 기존 정설을 발전시켜 새로운 것을 발견해 냈다. 기초과학을 왜 탄탄하게 배워야 하는지, 과학이 얼마나 인류에게 공헌할 수 있는지를 함께 알아본다. #노벨 #노벨과학상 #기초과학 #한국과학기술 #수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214&s_hcd=&key=202110270909566628

404

2021년 10월, 전 세게의 주목이 스웨덴으로 향한다. 바로 노벨과학상 수상자 발표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아직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 노벨과학상에 대한 열망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 노벨과학상은 어떻게 선정돠고 어떤 과학자가 수상하는지, 또 한국에서 수상자는 나올 수 있는지 살펴본다. 노벨상은 스웨덴의 화학자인 알프레드 노벨에 의해 만들어진 상이다. 1895년 인류에게 가장 많은 공헌을 한 사람에게 상과 상금을 수여하라는 유언을 남기면서 노벨상이 탄생되었다. 한국에도 노벨상 시상식에 초대받은 과학자가 있다 바로 박영우 교수다. 2000년도에 한국인 학자로 처음 노벨상 수상 연구업적에 참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시상식에 공식 초청을 받았다. 또한 노벨과학상 후보자로 현택환 교수나, 유룡 교수, 김빛내리 연구단장도 꾸준히 거론되는 후보자들이다. 사실 노벨과학상을 가장 많이 수상한 나라는 미국이다. 미국은 순수과학연구를 해온 오랜 역사와 많은 투자로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해왔고, 결과적으로 많은 과학자들이 노벨과학상을 수상해 왔다. 물론 한국에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한 석상일 교수를 비롯해 에너지 하베스팅기술을 개발한 백정민 교수, 시스템 대사공학의 선구자로 알려진 이상엽교수 등이다. 세계를 선토하는 한국의 과학기술은 무엇인지, 그리고 노벨과학상에 근접한 과학자들은 누구며, 이들은 어떤 연구로 인류에 공헌하고 있는 지 살펴본다. #노벨 #노벨과학상 #과학자 #한국과학기술 #노벨상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214&s_hcd=&key=202110260912421280

750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나라는 미국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지난해까지 노벨 생리의학상·물리학상·화학상에서 미국이 267명의 수상자를 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는 전 세계 노벨과학상 수상자 607명의 절반에 가까운 숫자입니다.

0

탄소(C)는 지구상에서 매우 흔한 원소이지만, 사실은 매우 중요하면서도 흥미로운 원소이기도 하다. 인간과 동식물 등 생물체를 이루는 분자들의 기본 요소이면서,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 에너지원을 제공하는 원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