냄새

0

과학자들은 동물들이 어떻게 냄새를 맡는지 아직 정확하게 해독하지 못하고 있다. 미국 콜드 스프링 하버 연구소(CSHL) 과학자들은 최근 냄새를 맡는 것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과는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978

개들이 대표적인 열대성 감염 질병인 말라리아도 냄새로 찾아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영국 BBC 방송이 보도했습니다. 영국과 감비아 공동 연구진은 영국 밀턴케인스에 있는 '의학 탐지견' 센터에서 감비아의 한 지역 아이들이 신었던 양말을 훈련된 탐지견들에게 시험한 결과 말라리아 감염된 아이들이 신었던 양말을 10개 중 7개를 골라냈다고 밝혔습니다.

1696

1960년대에 호주연방과학원에 이사벨 베어와 리처드 토마스가 비 냄새를 '페트리코'라고 이름 지었는데요. 페트리코는 그리스어로 페트라(petra)는 바위고, 이코(ichor)는 신의 피라고 합니다. 이 성분은 식물이 만들어낸 이름이나 유기물 같은 게 바위틈 속에 '공극'이라고 부르는데, 바위틈 속에 모여 있다가 비를 맞으면 퍼져 나와서 공기 중으로 퍼지는 냄새라고 합니다.

2211

평범한 일상 속 놀라운 과학 원리를 재밌게 전달하는 다락방! 냄새가 추억, 상황, 감정을 담아낸다? 냄새의 은밀한 과학을 알아보는 시간! 코로 인지하지만 냄새는 뇌에서 판단한다? 우리가 맡을 수 있는 냄새의 종류는 무려 1,000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