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배엽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내배엽

587

줄기세포 분화 조절 등의 응용 가능성 제시 국내 연구진이 세포 분화 등에 중요한 후성유전을 정교하게 조절하는 신규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발굴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김세윤, 이대엽 교수(한국과학기술원) 연구팀 등이 동물세포에 존재하는 이노시톨 폴리인산 인산화(IPMK)효소*에 의하여 후성유전학적 조절이 가능함을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0

배아는 어떤 발달과정을 거쳐 성체가 될까? 언뜻 쉬운 듯이 보이는 이 질문은 과학자들이 지난 수백년 동안 도전을 계속해 온 생명체의 신비롭고도 심오한 물리적 변형 과정이다.

4256

동물분류상 히드로충류·해파리류·산호류를 포함하는 한 동물문(動物門).

1891

수정란이 난할을 하여 배를 생성했을 때, 3배엽을 생성하는 동물.

2781

중배엽의 유무(有無)로 동물을 분류할 수 있는데 이때, 중배엽이 발달되지 않았으면서 외배엽과 내배엽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2배엽성 동물

2096

동물의 배(胚)가 발생할 때, 원구(原口)에서 배의 내부에 들어온 세포군으로, 내배엽으로 부터 된 중배엽을 가리킨다. 동물의 배(胚)가 발생할 때 원구(原口)에서 배의 내부로 접혀들어간 세포군. 넓은...

1829

원생동물이 아닌 모든 동물들의 수정란이 가지는 난할기 이후의 형태로 난할기가 끝나는 포배기 이후의 단계이다. 원생동물이 아닌 모든 동물들의 수정란이 가지는 난할기 이후의 형태로 난할기가...

1531

다세포동물의 난세포. 곤충의 알이 표할(表割)을 할 때는 분열핵이 앞 표면으로 이동하며 이 때 일부 핵(및 그것을 둘러싼 소량의 원형질)은 표면까지 이동하지 않고 알...

2048

조직학적으로 내배엽·중배엽·외배엽의 세 배엽(胚葉)에 유래하는 조직이 혼합되어 조성이 가장 복잡한 종양(腫瘍)이다. 조직학적으로 내배엽·중배엽·외배엽의 세 배엽(胚葉)에 유래하는 조직이 혼합되어 조성이 가장 복잡한 종양(腫瘍). 기형종은 미숙한...

1559

동물의 배(胚)가 발생할 때, 원구(原口)에서 배의 내부에 들어온 세포군으로, 내배엽으로 부터 된 중배엽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