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 Part 4

남극

0

과학저널 네이처 18일자에 따르면 남극 사우스폴에서 600km 떨어진 머서 호수(Lake Mercer)를 과학자들이 특수 레이더로 탐사했는데, 놀랍게도 해초와 함께 작은 갑각류, 그리고 괴물 타디그레이드(tardigrade)의 사체가 발견됐다.

1364

남극은 다양한 생물들이 사는 생명의 보고로 알려져 있죠. 특히 남극 빙하에는 지구 기상정보가 고스란히 담겨 있어서 기후변화 관측의 핵심으로 꼽히기도 합니다. 남극 세종과학기지의 30번째 월동대장으로 현지에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돌아오신 극지연구소 김성중 박사

959

남극대륙의 자원과 자연환경을 조사하고, 연구, 개발하기 위해 1988년 2월 남극에 설치된 대한민국 세종과학기지이다.

1136

남극에서 직사각형처럼 보이는 거대한 빙산이 발견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미국 과학 매체 '라이브 사이언스'는 현지 시간으로 지난 17일 미국항공우주국이 트위터 계정 'NASA 아이스'에 공유한 빙산 사진 한 장을 소개했습니다.

1242

극지 생물을 가까이서 연구할 수 있는 이른바 '극지 아쿠아리움'이 국내에 생겼습니다. 인천 송도에 자리 잡은 극지연구소에서 만든 건데요, 총 5톤 규모의 수조와 냉각시스템을 갖추고 극지의 환경을 그대로 재현하고 있습니다.

1565

한국인으로서 남극과 북극을 일주해서 책을 남겨보자는 뜻이 있었고, 마침 북극을 가서 보니까 지구온난화가 굉장히 심했고, 남극을 가서 어느 계곡을 보니까 계곡에 펭귄이 30만 마리가 있었어요. 그런 것을 보면서 지구는 우리 인간만의 땅이 아니고 펭귄들의 나라가 있구나, 이런 걸 깨달으면서 펭귄을 통해서 지구환경을 계속 알려주자, 이런 뜻으로 가게 됐습니다.

0

‘아이스포칼립스’는 눈을 의미하는 ‘아이스(ice)’와 대재앙을 의미하는 ‘아포칼립스(apocalypse)’를 합성한 말이다. 얼음으로 인한 세계 종말이라는 뜻이다. 이 단어가 등장한 것은 지난 2014년 초 미국에서다.

2365

남극에 존재하는 오존층 구멍이 관측 이래 가장 작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 항공우주국 NASA와 미국 해양대기청은 이달 남극 오존층 구멍 면적이 지난해보다 3백만㎢가량 줄어 1988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0

토텐 빙하(Totten Glacier)는 호주에서 가장 가까운 동남극에서 가장 큰 빙하로 길이 65km, 폭은 30km에 달한다. 크기만 144㎞×35㎞에 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빙하다. 그런데 이 빙하가 최근 급격히 얇아지고 있다.

1899

오는 2050년까지 석탄발전이 실질적으로 중단되지 않으면 금세기 말까지 해수면이 1.3m 상승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호주 멜버른대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환경 연구보'를 통해 남극의 빙하가 예상보다 빠르게 녹고 있다며 이렇게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