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산사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낙산사

665

산불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미국, 캐나다, 동남아 등지에서는 낙뢰와 이탄층 등 자연 요인으로 인한 산불이 많지만 우리나라 산불의 주요 원인은 사람들의 부주의 때문이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afdIwMUuYyY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산불 #산불원인 #낙산사 #복사열 #YTN사이언스 우리나라 산불의 주요 원인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0085&key=202204291517298569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3745

태백산맥과 동해에 둘러싸인 강원도 동해안은 지리적 위치 때문에 기후나 환경이 다른 지방과 차이가 난다. 해마다 겨울에는 폭설로 인해 교통이 마비되기도 하지만 여름에는 아름다운 경치와 시원한 바다 때문에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기도 하다. 동해안에는 특유의 자연 환경, 오래된 역사와 문화 등 다채로운 볼거리 즐길거리가 많은데, 빙하기를 지나 오랜 시간에 걸쳐 만들어진 석호와 특히 흔들바위로 유명한 설악산이 자리하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가장 오래된 신석기 유적지인 선사유적지, 신사임당과 율곡이이의 오죽헌, 여러 번의 화재를 겪은 낙산사 그리고 북청사자놀음, 강릉단오제 같은 큰 축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여러 번 다시 지어진 낙산사 그 중에서도 강원도 동해안 절경에 위치한 낙산사는 우리나라 사찰 중 가장 아름다운 위치와 역사를 자랑하는 사찰이다. 하지만 그 명성만큼 많은 사연과 수난을 겪은 사찰이기도 하다. 신라 시대에 세워진 낙산사는 고려 초기에 난 큰 산불 때문에 관음보살 등 불상을 모신 건물 2개만 무사한 채 불타고 말았다. 그러다 몽골이 침략했을 때 이 건물을 포함한 절의 모든 건물이 소실됐다. 그 후 낙산사는 다시 지어졌으나 임진왜란 때 또 폐허가 됐고, 1900년대 초에 복구되지만 6,25전쟁 때 또 다시 불에 타서 사라지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