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비

231

홈 카드뉴스 카드뉴스 모든 나비는 한때 나방이었다 …1억 년 전까지는 2023년 06월 12일 ‘나비’와 ‘나방’ 비슷한 이름의 두 곤충은 사람들에게 다른 이미지로 인식된다. 나비는 고상하고 아름답지만, 나방은 징그럽다고 말이다. 어떤 차이점이 있길래 이미지가 이토록 달라진 걸까?

357

생물 교사 석주명은 늘 나비를 채집하러 다녀 까맣게 탄 피부 때문에 학생들로부터 까마귀 선생님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까마귀 선생님 석주명이 어쩌다 본격적인 곤충학자의 길을 걷게 되었을까? ======================================== ※ Full 영상 ▶ https://youtu.be/x_LYgJxL-v0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석주명 #나비 #곤충 #곤충학자 #YTN사이언스 나비 박사 석주명의 나비 연구 계기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185&key=202205091101183635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0

석주명 과학기술유공자 (국립과학박물관 전 동물학 부장, 2017년 지정) – 나비연구로 생물학에 민족성을 심은 ‘한국의 파브르’

0

외부 온도에 의해 체온이 변하는 동물을 변온동물이라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나비인데 햇볕에 노출된 곳이라든지 주변 상황에 의존해 체온을 유지하고 있다. 그런 만큼 지구온난화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1490

전남 '함평' 하면 생각나는 축제, 바로 전국의 대표 축제로 자리매김한 나비 축제인데요, 나비 축제 개막을 한 달 앞두고 성공 개최를 기원하는 나비 날리기 행사가 열렸습니다. 봄꽃과 어우러진 형형색색 나비의 화려한 군무, 영상으로 함께 보시겠습니다.

0

‘나비박사’ 석주명 선생(1908~1950·사진)은 일제강점기 상황에서도 우리 산과 들을 날아다니는 이들 나비에 우리말 이름을 붙여줬다. 그는 1947년 자신이 쓴 ‘조선나비이름 유래기’에서 한국에 사는 248종에 이르는 나비에 일본 이름 대신 우리 이름을 지어주고 그 기원을 소개했다.

1670

'배은망덕'이라는 말, 비단 사람에게만 해당하는 말이 아닌가 봅니다. 남미에 사는 나비가 애벌레 시절 자신을 돌봐주던 개미의 먹이를 빼앗아 먹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1907

20여 년 동안 우리 산과 들을 누비며 곤충 연구에 매진한 학자가 있습니다. 한국의 파브르를 꿈꾸며 한국산 토종 곤충 이야기도 써 내려가고 있다는데요. 탐구인 에선 고려대학교 한국곤충연구소 정부희 연구 교수 함께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