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눗셈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 Part 2

나눗셈

4875

문자와 숫자를 사칙연산 및 거듭제곱근풀이의 연산 기호로 연결한 식. 유리식과 무리식을 포함한다.

2832

나눗셈에서 피제수(被除數)를 제수(除數)로 나누었을 경우, 나누어떨어지지 않고 남는 수이다. 어떤 수를 다른 수로 나누었을 때 몫이 나누어떨어지고 남는 수이다. 나눗셈에서 나누는 수(제수)를 a, 몫을...

2326

어떤 수에 다른 수를 나누거나 어떤 식에 다른 식을 나눌 때, 그 처음의 수나 식을 말한다. 어떤 수에 다른 수를 나누거나 어떤 식에...

1889

정수(整數)나 정식(整式) A, B가 있을 때, A=BC를 만족시키는 C가 존재할 때 A는 B로 나누어떨어진다고 한다.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남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일반적인 나눗셈에서,...

1849

2개 이상의 수를 나눗셈하여 새로운 수를 구하는 행위를 뜻한다. 2개 이상의 수를 나눗셈하여 새로운 수를 구하는 행위를 뜻한다. 곱하기의 역으로 생각하면 된다. 빼기를 반복하는...

14950

더하기에 빼기가 있다면, 곱하기에는 나누기가 있다. 사칙연산 중에서 어렵기로 따지자면 가장 어려운 게 바로 이 나눗셈이다. 곱셈이 똑같은 수를 몇 번 더하느냐를 간단히 나타낸 것이라면, 나눗셈은 어떤 수에서 똑같은 수를 몇 번 뺄 수 있느냐를 말한다.

24084

수학과 천문학이 발달했던 고대 그리스에서는 0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그리스인들은 아무 것도 없는 상태인 ‘무(無)’와 0이 같다고 여겨 0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았다.

1679

문자와 숫자를 사칙연산 및 거듭제곱근풀이의 연산 기호로 연결한 식이다. 유리식과 무리식을 포함한다.

1092

어떤 수에 다른 수를 나누거나 어떤 식에 다른 식을 나눌 때, 그 처음의 수나 식을 말한다.

1662

정수(整數)나 정식(整式) A, B가 있을 때, A=BC를 만족시키는 C가 존재할 때 A는 B로 나누어떨어진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