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플라스틱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나노플라스틱

710

간접 노출된 나노플라스틱에 의한 소화효소 활성 저해 정량화 국내 연구진이 해양 먹이사슬을 통해 나노플라스틱에 간접적으로 노출된 참조기의 소화 기능이 저해​될 수 있음을 밝혀냈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안윤주 교수 연구팀(건국대학교, 제1저자 김리아 석ㆍ박사통합과정)이 소비율이 높은 식자원인 참조기를 대상으로 나노플라스틱 간접 노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나노플라스틱이 먹이망*을 통해 전이되며 소화효소* 활성을 저해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0

생기원의 ‘전기영동법’과 DGIST의 ‘마찰대전 발전소자’, 두 기술의 합작 한국생산기술연구원(생기원,KITECH)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IGIST) 공동연구팀이 마이크로뿐 아니라 나노 크기의 미세플라스틱까지 물에서 제거할 수 있는 친환경 필터를 최초로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환경오염 없이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하는 세계 최초의 친환경 필터로, 큰 환경문제로 대두되는 미세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성과는 에너지공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나노에너지’ 온라인 판 6월 11자에 게재되었고, 오는 9월에 출판 예정이다.

613

인간과 비슷한 기관이 있는 대표적 실험동물인 열대어 '제브라피시'입니다. 몸 전체가 녹색으로 물들어 있습니다. 녹색 부분은 형광 물질을 입힌 초미세플라스틱. 열대어 몸 구석구석에 초미세플라스틱이 쌓여 있는 겁니다. 국내 연구진이 '제브라피시'를 이용해 초미세플라스틱의 체내 흡수와 복합 독성영향 등을 검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