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입자

0

기존 보존제보다 세포 회수율·증식효능 높아

0

화학과 권오훈 교수팀, 초고해상도 이미징 기법 개발

423

열 소비 없는 체거름 방식으로 석유화학공정 에너지 절감 기대 머리카락 두께 500만분의 1에 해당하는 0.02 나노미터(nm) 수준 크기 차이의 기체 분자를 분리할 수 있는 초미세기공 제어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이종석 교수(서강대학교) 연구팀이 크기 차이가 0.02나노미터에 불과한 에틸렌/에탄 기체 분자를 체거름으로 분리 가능한 새로운 나노입자 Sogang ZIF-8(SZIF-8)로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분리막 제작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478

금속-페놀 네트워크 나노입자와 전기자극을 이용한 효과적인 면역 항암 반응 유도 한국연구재단은 박우람 교수(성균관대학교, 제1저자 한준혁, 신하은), 김익환 교수(고려대학교), 한동근 교수(차의과학대학교) 공동 연구팀이 면역활성 나노입자와 비가역적 전기천공법의 병용 치료를 통한 고효율 면역 항암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대식세포는 우리 몸의 선천 면역세포 중 하나로, 암세포를 잡아먹고 이를 분해해서 항원제시를 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입니다. 대식세포의 활성화는 다른 면역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어, 효과적인 면역 항암 치료를 위해서 대식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 연구가 활발합니다.

320

광사태 나노입자의 상용화 연구를 진행하는 서영덕 박사는 광사태 나노입자를 마이크로레이저에 사용해 질병을 진단하는 데 사용하려고 한다. 그의 연구를 엿보고 그가 예견하는 한국 과학의 미래를 알아본다. ▶full영상: https://youtu.be/dosgUIqddT0 #광사태#마이크로레이저#나노입자#질병진단#과학연구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108051627048461

0

균일한 나노입자를 합성과, MRI조영제, 패혈증 치료제 등의 의학적 응용과, 과산화수소 전기화학촉매와 수소 생산용 광촉매 개발 등 에너지 응용

1429

최근 등장하는 접는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기기의 핵심은 전극 기술입니다. 모양을 마음껏 바꿔도 전기가 잘 통해야 하기 때문인데요. 국내 연구진이 35배까지 늘려도 전류가 흐르는 새로운 전극 소재를 개발했습니다.

0

빛으로 상처봉합, 양자효율 갖는 소자 기술 등 우수나노기술 봇물 반도체, 로봇, 디스플레이, 바이오, 수소전지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라 불리는 영역에서 나노기술의 발전이 눈부시다. 나노기술은 최고의 융합기술로 손꼽히며 다양한 분야에 혁신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1181

물체를 형성하는 나노입자, 나노섬유, 나노판으로 분류되는 3차원의 치수 중 1개 이상의 길이가 나노 크기에 해당하는 물질을 말한다.

1168

아토피 피부염은 자기 몸 속 면역 세포가 정상 세포를 적으로 잘못 알고 공격하는 이른바 '자가면역질환'의 대표적인 사례인데요. 아직 뚜렷한 치료약이 없는 아토피 피부염을 나노 입자로 치료하는 기술이 나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