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미터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나노미터

423

열 소비 없는 체거름 방식으로 석유화학공정 에너지 절감 기대 머리카락 두께 500만분의 1에 해당하는 0.02 나노미터(nm) 수준 크기 차이의 기체 분자를 분리할 수 있는 초미세기공 제어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이종석 교수(서강대학교) 연구팀이 크기 차이가 0.02나노미터에 불과한 에틸렌/에탄 기체 분자를 체거름으로 분리 가능한 새로운 나노입자 Sogang ZIF-8(SZIF-8)로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분리막 제작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0

국내 연구진이 나노미터 단위를 넘어 옹스트롬 수준의 초 극미세 반도체 소자를 구현해 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이종훈 그룹리더와 울산과학기술원(UNIST)·포항공대(포스텍) 공동 연구팀이 차세대 소재 흑린을 이용해 선폭 4.3Å(옹스트롬·100억분의 1m)의 전도성 채널을 만들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1084

머리카락 두께의 1/1000 정도인 나노미터(nanometer) 크기의 무선 송신기 또는 수신기이다.

1089

10억 분의 1m인 나노미터 소자의 내부 깊은 곳까지 측정할 수 있는 고감도 현미경이 개발됐습니다. 반도체나 전자소자의 구조를 광학적인 방법으로 영상화하는 기술로,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에 도움을 줄 전망입니다.

1023

하이퍼 렌즈는 물체 크기가 빛의 파장보다 작아 빛을 멀리 반사하지 못해 물체를 볼 수 없는 한계를 극복했지만, 기존 렌즈는 크기가 수 나노미터에 불과해 물체를 관찰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3048

사이언스올과 함께하는 과학지식 Level Up! - 5나노미터 트랜지스터 시대의 개막, 사이웅스와 함께 자세히 알아볼까요?

1549

포스텍 김철홍 교수팀은 성균관대 김윤석 교수팀과 공동으로 '제3세대 현미경'이라 불리는 원자력 현미경에 레이저를 결합해 수 나노미터 미터 크기까지 볼 수 있는 초고해상도 현미경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1198

지름이 수 나노미터(1나노는 10억분의 1미터)에 해당하는 크기의 극 미세선이다. 나노선, 나노침, 나노관, 나노벨트 등을 포함한 1차원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물의 통칭. 나노 기술을 이용해 레이저나...

2089

아주 작은 크기, 수 나노미터(nm)에서 수백 나노미터 크기의 물질을 연구하는 학문. 그리스어 나노스(nanos-난쟁이)에서 유래. 나노는 10억분의 1m 크기로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10만 분의 1,...

1581

각종 기계 부품이나 재료 등을 머리카락 굵기의 2천분의 1 수준인 50 나노미터 이하 오차로 깍을 수 있는 초정밀 가공 기술이 개발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