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장애 유발하는 악몽 치료 가능성 확인
2010년 개봉한 영화 <인셉션>은 타인의 무의식에 침입해 생각이나 개념을 주입한다는 설정에서 출발한다. 영화처럼 타인 꿈의 서사를 조작할 수는 없지만, 악몽으로 인한 두려움을 줄여줄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됐다. 스위스 제네바대 연구진은 소리를 이용해 꿈꾸는 동안의 감정을 긍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소규모 임상 연구를 통해 악몽으로 인한 수면 장애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
꿈은 현실이 아니지만, 꿈에는 현실 같은 생생함이 있고 때로 상징성이 느껴지기도 한다.
우리 문화에는 태몽을 기억하고 해석하는 전통이 있고, 인상적인 꿈들을 과거나 미래와 연결시켜 설명하는 노력은 동서양을 통틀어 여러 형태로 존재해왔다. 우리는 왜 꿈을 꾸고, 거기에 나오는 이야기는 어떤 의미인가? 이에 대한 답을 아직 우리는 계속 탐구하고 있다.
꿈에는 여러 가지 이론이 있는데요. 그중 가장 유력한 것은 기억을 정리하는 과정이다, 그러니까 시냅스라는 신경세포에 기억이 저장되는데 가지치기를 하면서 불필요한 것을 자면서 없애버리자, 이게 가장 유력한 이론이고요.
실제로 정말 뭐 때문에 꿈을 꾸고, 왜 꿈이 필요한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