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구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기초연구

89

전기차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 대형기기에 적용 가능한 고용량·고안정성 이차전지* 개발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아연-알루미늄 합금 금속전지 전해질 개발을 통해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 원천기술을 확보하였습니다.

114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 R&D BRIEF 비천연아미노산을 이용한 새로운 단백질공학 기술

43

과학 연구는 성과가 나오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지속적인 지원이 중요하죠. 우리 젊은 과학자들이 다른 걱정 없이 오직 연구에만 몰두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해 이른바 '한우물 파기' 지원 사업이 시작됐습니다.

103

30년째 건강 기능 식품을 만들고 있는 오늘의 최강기업은 호주를 시작으로 한국, 일본, 중국에 법인을 설립한 글로벌 회사이다. 오늘날 최강기업의 바탕이 된 원료를 찾기 위한 과정을 이병구 대표를 만나 들어본다.

1435

열 소비 없는 체거름 방식으로 석유화학공정 에너지 절감 기대 머리카락 두께 500만분의 1에 해당하는 0.02 나노미터(nm) 수준 크기 차이의 기체 분자를 분리할 수 있는 초미세기공 제어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이종석 교수(서강대학교) 연구팀이 크기 차이가 0.02나노미터에 불과한 에틸렌/에탄 기체 분자를 체거름으로 분리 가능한 새로운 나노입자 Sogang ZIF-8(SZIF-8)로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분리막 제작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935

침염현상 이용해 재현성있는 코팅 공정 및 패터닝 방법 개발 액체금속이 복잡한 공정 없이 자발적으로 코팅되는 기술이 국내연구진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구형준 교수(제1저자 김지혜/김수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구팀과 소주희 수석연구원(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웨어러블 전자소자의 전극물질로 사용되는 액체금속의 자발적이고 제어 가능한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933

CRISPR-Cas 시스템 이용한 보다 정교한 유전자 조작에 응용 기대 인간과 박테리아, 바이러스는 끊임없는 생존 전쟁을 치르며 고유의 면역체계를 발전시켜왔습니다. 박테리아의 방어막을 뚫고 공격하는 바이러스의 면역회피 시스템과 이를 무력화 시키는 박테리아의 면역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국내연구진이 새롭게 밝혀, 인간 유전자 편집 기술에도 응용이 기대됩니다.

721

새로운 페로브스카이트-고분자 혼합 가교 시스템 도입 수천 번 휘어져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새로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국내 연구진의 공동연구로 개발됐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한태희 교수(한양대학교)와 전일 교수(성균관대학교) 공동연구팀이 새로운 페로브스카이트-고분자 혼합 가교 시스템 기술을 확보하고, 기계적 변형에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으며 스스로 성능을 복구하는‘자가치유형(self healing)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503

리스테리아균 감염질환 치료제 개발의 단초 마련 국내연구진이 식중독을 유발하는 리스테리아균*의 인간 감염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편모*의 생성 조절 기전을 밝혔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윤성일 교수(강원대학교, 제1저자 조소연, 나혜원 대학원생) 연구팀이 리스테리아균의 편모 생성이 온도에 따른 GmaR 단백질의 독특한 구조적 변화에 의해 제어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672

내성균이 항생제 분해하여 세균 집단 내성 유발 국내연구진이 다제내성균* 치료 시 최후 처방 항생제로 사용되는 콜리스틴(Colistin)의 효과를 무력화하는 내성균의 기전을 발견해 다중미생물 감염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차창준 교수(중앙대학교) 연구팀이 토양에서 분리한 병원균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가 콜리스틴 항생제를 분해하고, 다중미생물 감염 시 일반적으로 치료가 가능한 병원균까지 집단 내성*을 유발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