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기초과학

74

우리의 과학이 세계 속에서 인정받고 더 나아가 인류에 공헌하는 그 날을 향해 재도약하고 있는 우리나라 과학계의 현재 그리고 미래를 이야기해봅니다.

101

📌 중이온가속기는 어떤 장치인가? 📌 이번에 어떤 성과를 내었나? 📌 새로운 물질은 언제 생성할 수 있나 📌 지금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던데.. 어떤 일들이 있었나 📌 2단계 고에너지 구간 추진 일정은?

104

누리호와 함께 대표적인 거대과학 프로젝트로 꼽히는 중이온가속기가 빛 속도의 5분의 1에 달하는 빔을 만드는 데 성공

239

손상된 DNA가 복구되는 과정에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더 많은 단백질이 관여한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밝혔습니다.

107

정부가 기초과학을 연구하는 박사 후 연구원의 공동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올해 160억 원을 투입합니다.

140

■ 우충완 / 기초과학연구원 뇌과학이미징연구단 부연구단장 대한민국을 이끌어간 과학계의 주역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백 예순아홉 번째 주인공은 기초과학연구원 뇌과학이미징연구단의 우충완 부연구단장이다. 동물과 사람의 뇌의 기능과 구조를 연구하는 뇌과학이미징연구단. 이곳에 뇌 연구를 통해 사람의 몸과 마음 상태를 보여주는 과학자가 있다. 기초과학연구원의 우충완 박사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전세계 인구의 약 20% 가량이 앓고 있는 만성통증. 하지만 사람마다 통증의 정도가 다르고, 그 판단도 주관적이어서 진단과 치료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우충완 박사는 보이지 않는 통증을 수치화했다. 사람에게 열과 캡사이신 통증 자극을 주어 그 자극에 반응하는 뇌의 활동을 자기공명영상(MRI) 기계를 통해 확인해낸 것. 이는 통증 진단과 치료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267

거창월성우주창의과학관 2023 월성과학교실 안내  

272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 조율래, 이하 ‘창의재단’)은 세계 과학영재들의 두뇌올림픽이라 불리는 국제과학올림피아드에 도전할 중·고교 학생들을 모집합니다.

160

[오너人터뷰] 앞으로 우리 인류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우리가 알고 있는 지식을 세계 인류가 모두 알 수 있도록 노력하는 레이델, 이병구 대표를 만나다.

349

노벨상 수상자들이 상을 받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은 핵심 논문 연구 시작부터 평균 31년이다. 노벨상 수상의 비결은 오랜 시간 동안 꾸준한 연구가 바탕이다. 기초과학의 토양을 잘 다져 노벨상을 가장 많이 배출한 나라는 어디일까? ======================================== ※ Full 영상 ▶ https://youtu.be/QR9Y2boK5J4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노벨상수상자 #노벨상 #노벨상국가 #기초과학 #과학 노벨상 수상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나라는?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_hotclip.php?mcd=1213&key=202211251512523000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