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핀

30

지금까지 우리는 다양한 첨단 기술의 발전 속도에 기대어 인간과 닮은 기계나 로봇의 모습을 상상해왔습니다. 하지만 겉모습만 인간과 닮은 것은 의미가 없죠. 우리가 바라고 상상하는 것은 그 너머에 있을겁니다. 최첨단 공학 기술로 인간의 겉모습을 닮은 어떤 무언가를 만드는 것을 뛰어넘어 인체의 본질적인 운동방식.. 즉, 인간의 근육을 재현에 내면 더 엄청난 신체강화기술을 만들어낼 수 있지 않을까 상상하게 되는데요. 한국과학기술원의 김상욱 교수 연구팀은 이런 상상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 연구를 꾸준히 해오고 있습니다.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모방한 연구결과.. 최근 의미 있는 성과를 발표했는데요. 과연 어떤 내용일지 다큐S프라임에서 알아봅니다.

32

나노 소재는 10억 분의 1의 단위를 다룬다. 나노미터 크기만큼 작아지게 되면 완전히 다른 물질이 된다. 이러한 나노소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여러 성질을 구현할 수 있다.

1

韓-中 연구진, 말발굽처럼 오목하게 휘어진 ‘탄소 슈왈차이트’ 합성 길 열어

36

미래에 인간형 생체 로봇 개발이나 의족 개량, 인공장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인공근육 기존의 인공 근육은 근육으로 사용될 순 있지만 그 힘이 너무 약해서 한계가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오늘의 기술자는 신소재로 특별한 근육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49

물에 잘 섞이지 않는 그래핀의 한계를 해결하다 #그래핀 #배터리 #전기 #전기차

58

■ 이건웅 / 한국전기연구원 전기재료연구본부장 대한민국을 이끌어간 과학계의 주역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백 쉰 한 번째 주인공은 한국전기연구원 전기재료연구본부의 이건웅 본부장이다. 인류의 눈앞에 다가온 전기차 시대. 전기차의 심장이라고 할 수 있는 배터리의 용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전기연구원의 이건웅 박사가 바로 그 주인공. 양극과 음극을 오가며 충전과 방전을 하는 리튬이온전지에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음극재는 배터리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기존 배터리에 쓰이는 흑연은 수명이 짧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국내외 기업들은 흑연보다 용량과 수명을 늘릴 수 있는 실리콘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충전할 때마다 부풀어 오르는 실리콘의 특성 탓에 현재의 기술력으로는 실리콘의 용량을 5%까지만 넣는 것이 최대 용량이었다. 실리콘 용량을 넣으면 넣을수록 더 심하게 부풀어올랐기 때문. 이건웅 박사팀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았다.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전기재료공학자 #이건웅 #그래핀 #배터리 차세대 배터리의 핵심, 그래핀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394&hcd&key=202212200931015526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0

[NRF 생활과학이야기] 지속사용 가능한 새로운 혈당센서 기술 개발 여러 번 사용 가능한 혈당 센서 한번 쓰고 버리는 게 아닌, 약 1년 동안 지속적으로 쓸 수 있는 혈당 센서 기술이 개발되어 향후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274

폐목재로 전기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 김영진 기계공학자는 목재에 그래핀을 생성하여 그 에너지로 물을 끓일 수 있다는데... 나뭇조각으로 커피를 끓일 수도 있다고! ======================================== ※ Full 영상 ▶ https://youtu.be/duEXaO0T9Dk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ttps://bit.ly/3raTL0t ======================================== #전류 #그래핀 #펨토초레이저 #커피 #YTN사이언스 나무로 커피를 끓인다?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204261651281053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441

내열성과 강도가 높은 그래핀은 육각형 탄소 구조로 되어있는 게 특징이다. 이 소재를 이용해 샴푸를 만들면 큐티클이 손상된 부분을 그래핀이 메우면서 머릿결 개선 효과가 나타난다고 한다. ▶full영상: https://youtu.be/99xpnWteGH8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샴푸 #그래핀 #그래핀샴푸 #모발 손상된 머릿결을 개선하는 그래핀 샴푸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185&key=202201131552596249

880

(function($){$('body').addClass('sc-communicationPage');$('.single .status-publish header h1.entry-title').text("");$('.single .status-publish header h1.entry-title').html("");})(jQuery); 1 관련 영상 미래를 바꿀 꿈의 신소재, 그래핀 세계 최초 그래핀 상용화 기술 개발 가상 전시관에서 관람하기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