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교과서

3952

이상 기후, 멸종 사태, 동물 복지, 환경 파괴, 식품 문제 등 핵심적인 환경 문제를 두루 살피며 위기에 처한 지구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다양한 사진과 자료, 지도, 그래프, 세계적인 환경 보호 캠페인 광고 등 감각적인 시각 자료까지 모두 수록해 방대하고 복잡한 지구 환경 문제를 흥미롭게 바라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지구에 해를 끼치면 우리에게 다시 그 피해가 돌아온다는 깨달음을 전하며 환경 문제에 더 관심을 가지기를 바라고 있다.

5235

일상에서 부딪히고 만다는 수많은 일들이 결국 화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재미있는 예화를 수록하였다. 고등학교 화학 교과서의 전 분야를 망라해 화학의 기초부터 응용에 이르기까지 알기 쉽고 재미있게 설명하였으며 교과서의 연계 내용을 표로 정리하여 목차 뒤에 수록했고, 풍부한 사진과 그림을 통해 글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의 이해를 돕는다. 화학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통해 화학에 관한 내용을 알고 화학을 좋아하게 되기를 바라고 있다.

3385

자기 주도적 탐구 학습이 핵심인 개정 교육 과정의 과학 수업에 맞추어 구성했다. 7가지 통합탐구 기능을 익힘으로써 자연스럽게 과학의 기본 원리와 개념을 깨칠 뿐 아니라,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과학 공부를 해나가도록 인도한다. 프랑스 태생의 유명한 미생물학자 파스퇴르와 영국 태생의 유명한 화학자 보일의 연구 내용을 단계별로 예로 보여주면서 이해를 도와주고 있다. 나아가 우리가 살아가면서 부딪히는 다양한 문제를 논리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방법도 배울 수 있다.

2392

시대의 스승이자 멘토인 이어령과 함께하는 창의적 사고력을 길러 주는 교과서 넘나들기 프로젝트로 아이들을 초대하는 스팀(STEAM) 만화다. 흥미진진한 융합과 통섭의 세계를 종횡무진 넘나들도록 이끌고 있다. 국어, 수학, 사회, 과학, 그리고 예체능 등 초등학교 중학교 교과서의 경계를 신명나게 넘나들면서 융합과 통섭에 관한 살아 있는 아이디어를 풍부하게 전달한다.

2773

과학에서의 자기주도학습이 가능하도록 교과서를 버리고 학생의 눈높이에서 함께 수업하고, 이를 통해 아이들이 변화한 이야기를 담아낸 책이다.

4712

아이들과 함께 우리나라 구석구석을 찾아다니며 문화와 역사, 그리고 문화유산에 담긴 의미를 깨닫고 체험하는 모임인 뿌리와 문화 체험 교실의 『교과서 속 구석구석 우리 과학』. 교과서에서 소개하는 우리 문화유산 중 조상의 생활과 풍속뿐 아니라, 신기하고 우수한 과학 기술이 구석구석 숨겨진 과학 문화재 25가지를 소개하고 있다. 과학 문화재에 얽힌 재미있는 역사 이야기를 듣는다.

4088

『기후변화 교과서』는 기후변화의 개념부터 한반도 기후의 전망까지, 한반도 기후변화에 대한 모든 것을 정리한 책이다. 이화여대 에코과학부를 설립한 최재천 교수를 비롯한 31명의 생태계 전문가들이 점점 가속화되고 있는 기후변화를 올바로 알고, 이를 대비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4267

영화를 활용하여 교과내용을 살펴보는 『지구과학 교과서』. 영화는 지구과학이라는 학문의 특성상 교과서는 물론이고 어떤 다큐멘터리보다 더 지구과학의 매력을 잘 나타내 줄 수 있다. 이 책은 교실에서 보여주기 힘든 행성의 운동이나 지진, 판의 운동과 같은 것들을 영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지구과학 교과서이다.

2794

    저자는 중학교 과학 교과 과정을 아우르는 여러 가지 과학적인 개념을 두 딸과의 일상적인 수다로 쉽고 재미있게, 머리에 쏙쏙 들어오게 정리한다. 그는 두 딸과 함께 냉장고를 뒤지면 굴러다니는 요리 재료와 간편한 요리 도구를 사용해 된장찌개, 샌드위치, 볶음밥, 수제비, 군고구마 등을 만들면서 과학적인 원리, 과학의 개념 등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각 절마다 따로 정리되어 있는 총 50여개의 실험은 흔히 과학 실험에 감초처럼 쓰이는 비이커나 알코올램프 하나 없이 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들을 이용하였으며, 학교 칠판 속에서만 존재하는 과학 공식과 어렵고 실천하기 힘든 실험에서 벗어나 집의 주방을 '문턱이 낮은 실험실'로 만듦으로써 어린이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