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138

조선 전기부터 경복궁 정문인 광화문 앞 공간을 활용해온 흔적이 일부 발견

68

[앵커] 경복궁의 정문 광화문 앞 월대가 100년 만에 원형 복원됩니다. 일제가 훼손한 왕이 다니던 계단 등이 제모습을 찾아 올해 10월 시민에게 개방됩니다. [기자] 조선 후기 광화문 앞에 축조했던 월대의 장대한 규모가 한눈에 들어옵니다. 1866년 고종이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광화문 앞에 만든 것으로 길이 48.7m, 폭 29.7m에 달합니다. 광화문 정문에서 7미터가량 이어진 왕이 다니던 길 '어도지'의 옛 모습, 동편과 서편의 계단지 유적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광화문 월대는 왕의 행차는 물론 외국 사신 영접 등 중요 행사가 있을 때 사용했던 곳입니다. 월대는 궁궐의 안이나 정문 앞에 넓게 설치한 대(臺)로, 왕실의 위엄을 높이기 위한 건축물인데 광화문 월대는 구조적으로 특별한 점이 있습니다. 궁궐 정문 앞에 난간석을 울타리처럼 두르고 기단을 쌓은 경우는 광화문 월대가 유일합니다. 지난해 9월 이후 발굴을 통해 어도계단지가 경사로로 바뀌고, 일제가 전차 선로를 깔면서 훼손되는 등 4단계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장에는 왕이 다니던 어도계단지 등을 훼손한 일제강점기의 전차 선로 흔적이 선명합니다. [신희권 / 서울시립대 국사학과 교수 : 그러한 변화를 겪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도로 밑에서는 조선 후기 고종 때 중건했던 광화문 월대의 거의 원래의 모습을 저희들이 추정할 수 있을 만큼의 그러한 발굴 성과가 이번에 확인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어도계단지의 좌우에 놓였던 소맷돌을 받쳤던 지대석 등을 확인해 광화문 월대 원형 복원이 탄력을 받게 됐습니다. [정성조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본부장 : 우리 청에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추진했던 광화문 복원 사업이 월대 복원의 완료로 마무리된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문화재청은 전통 재료와 기법을 적용해 월대를 1890년대 이전 모습으로 복원할 계획입니다. 오는 10월 전면 개방에 맞춰 '궁중문화축전' 등과 연계해 대대적인 복원기념행사를 열 계획입니다.

0

도심 녹지 늘수록 조기 사망률 낮아지고, 시민 행복도 높아져 프랑스 파리의 역사‧문화적 상징인 샹젤리제 거리에는 하루 평균 6만4,000여 대의 자동차가 지난다. 역사와 낭만의 상징인 거리의 실상은 매연과 소음이 가득한 8차선 도로다. 파리시는 2030년까지 이 공간에 길이 2km, 넓이 15만㎡의 거대한 도심 녹지를 구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2237

균열된 광화문 현판을 다시 제작한다는 정부의 방침이 정해지면서 이참에 현판 글씨도 바꿔야 할지를 놓고 논란이 뜨겁습니다.

3341

[앵커멘트]복원한 지 100일도 안돼 갈라진 광화문 현판이 결국 다시 만들어집니다.문화재청은 나무를 잘못 쓴 탓이라고 조사 결과를 밝혔습니다.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리포트]지난 광복절 3년 6개월의 복원공사를 끝내고 시민의 품으로 돌아온 광화문.그러나 지난달 초 얼굴인 현판에 금이 간 것이 공개됐습니다.만든지 백 일도 안돼 쩍 갈라졌습니다.

1824

서울 광화문광장의 이순신 장군 동상이 42년 만에 처음으로 일시 철거됐습니다.

1629

광화문 현판의 균열 소식에 적지 않게 놀라신 분들 계실텐데요. 이 균열과 관련해 논란이 증폭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