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물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광물

77

[과학 인물 톡 – 대한민국 과학의 기틀을 세운 최형섭 박사!] 올해로 50주년을 맞은 대덕연구개발특구! 명실상부 대한민국의 경제발전을 이끌어 온 첨단 기술의 탄생지이자 대한민국 과학의 중심지인데! 이런 대덕 특구의 터를 닦고 과학자의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한 과학정책가! 故최형섭 박사의 이야기를 만나본다! [핫이슈 톡 – 2023 대한민국 과학축제]

55

이란이 세계 2위 규모의 매장량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리튬 광산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6일 미국 CNBC 방송에 따르면 지난 4일 이란 산업광물통상부는 국영방송을 통해 북서부 산악지대 하마단에서 자국 내 첫 리튬 광산을 찾아냈다고 발표했습니다. 추정 매장량은 850만 톤으로, 920만 톤의 매장량을 가진 칠레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입니다. 리튬은 전기차·휴대전화 배터리 등의 핵심 원료로서 최근 '하얀색 금'으로 불릴 정도로 주목받는 광물 자원입니다. 리튬 가격은 지난해 전기차용 배터리 수요 급증과 공급망 차질, 물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급등했으나, 올해 들어 전기차 판매 부진, 중국 경제활동 둔화 등으로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CNBC는 이란의 리튬 광산 발견 소식이 사실이라면 국제 리튬 가격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는 이란 경제에는 생명줄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관측했습니다.

52

정부가 핵심광물 33종을 선정하고 현재 80% 이상인 리튬과 코발트, 흑연 등의 중국 의존도를 2030년까지 50%대로 낮추기로 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삼성SDI와 LG에너지솔루션, 현대차 등 핵심광물 수요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이차전지 양극재 소재인 수산화 리튬 84%, 수산화 코발트는 69%, 천연흑연은 72%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는 핵심광물의 처리·가공 공정이 중국에서 대부분 이뤄지고 있기 때문인데, 정부는 핵심광물 수요가 2040년에는 2020년에 비해 4배 이상 급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핵심광물 33종을 선정하고 매장량 등을 고려해 30개 전략협력국을 선정해 민간 기업의 광산 투자와 장기 공급계약 체결을 지원할 방침입니다.

368

거품을 이용해 유용 광물을 선별하는 부유선별법은 해외 광산 개발 업체들이 가지고 있는 기술이라 로열티를 지급하며 사용해야 했는데, 현재는 우리 독자 기술로 이를 개발해 기술이전을 완료했다고 한다. ▶full영상: https://youtu.be/e1CjJqnlDpo #광물 #광산개발업체 #광산 #독자기술 #부유선별법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109231131574285

325

광산 안에도 한 종류의 광물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광물이 분포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 광물의 분포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지질학자 고상모 박사는 초분광카메라를 이용해 어디에 어떤 광물이 얼마나 분포해 있는지 알 수 있다고 하는데.. 함께 알아보자. ▶full영상: https://youtu.be/e1CjJqnlDpo #광산 #초분광카메라 #광물 #광물분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109161548343361

1469

희토류는 '희귀한 흙'이라는 뜻의 원소들을 말합니다. 우리가 학창시절 배웠던 원소 주기율표 있잖아요? 수소는 H 칼슘은 Ca 이런 기호들이 있는 건데 그 주기율표에 있는 17개의 원소가 여기에 포함되는 겁니다.

1395

'깊은 바다에 있는 보물선을 찾는다면 어떨까?' 한 번쯤 이런 상상해보신 적 있나요? 보물선을 아니지만 실제로 깊은 심해에는 귀중한 각종 자원이 숨겨져 있는데요. 해양 광물 자원이죠? 우리나라는 세계 5위의 광물 소비 대국이고 수요 광물의 92%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라서 희소금속 수입 문제는 심화

2386

신재생 에너지 산업에 필수적인 '녹색 광물'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는데요. 녹색 광물은 녹색 에너지, 그린 에너지라고 하니까 거기에 필요한 광물이라고 해서 녹색 광물이라고 하고요. 기존에 우리가 아는 희소금속이랑 같은 의미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2541

수억 년 전 지구를 누볐던 암모나이트부터, 전 세계 각지에서 모아온 희귀한 광물까지. '어여쁜 돌의 집'이라는 뜻이 담긴 우석헌 자연사 박물관에서는 지금 우리가 사는 지구가 어떻게 변해왔는지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또 이런 표본들을 보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로 만져보면서 배워가는 다양한 체험도 즐길 수 있습니다.

아날로그-사이언스

2880

지질시대의 서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