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30

[과학 실험 톡 : 알루미늄에 대해 알아보자!] “연진아... 오늘은 김밥을 먹었어... 그런데 왜 김밥은 알루미늄 포일로 쌀까? 궁금하지 않니?”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알루미늄! 김밥부터 초콜릿, 껌까지 굳이 알루미늄으로 싸는 이유가 있다는데! 과톡에서 그 이유와 관련 실험까지 만나본다! [핫이슈 톡 : 알성달성 쇼케이스 바이오 분야 현장] 알성달성 릴레이 쇼케이스 바이오 분야 현장을 취재했다!

14

지구에 불시착한🚀 올리, 베리. 우연한 기회에 사이언스탐험단원들을 만나 매주 ☀️소풍을 떠나기로 한다. 그 세 번째 장소는 국내 최대 규모의 🚀종합과학관인 🤖국립과천과학관. 다양한 🧮테마별 전시를 볼 수 있어 🙍‍♂️어린이들에게 인기 있는 장소라는데~ 상상력을 통해 미래과학을 체험해 보고, 재원이와 소윤이의 흥미진진한 대결까지! 🙂😽올리, 베리가 들려주는 신비한 🌌우주 이야기도 놓치지 마세요~

13

전북 익산시에서 6~7세기, 백제 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냉장고 시설이 발굴됐습니다. 문화재청은 익산시와 함께 추진하고 있는 금마면 서동역사공원 조성 터 지하에서 돌을 쌓아 만든 대형 저온 저장시설 2기를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저장시설은 공기가 배출되는 통기구가 비스듬히 위쪽을 향하도록 하고, 바닥에 모래가 섞인 점토 등을 깔아 습기를 차단하는 등 과학적으로 설계됐습니다. 저장고 바닥에서는 참외와 딸기, 포도, 산뽕나무 씨앗과 밀, 조, 팥 등의 곡식이 발견돼 삼국시대 먹거리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발견된 백제 저장고는 공주 공산성과 부여 관북리 유적 등 궁궐로 추정되는 유적에서만 확인돼 이번에 발견된 저장고 역시 왕실 시설일 가능성이 높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했습니다. 서동역사공원 조성 터에서는 저장고와 함께 건물 유적과 백제 왕궁리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과 같은 특징의 벼루, 그릇, 기와 등도 나왔습니다. 또 조선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기와 가마 5기도 확인됐습니다. 서동역사공원 조성 터는 백제 무왕 탄생 설화가 내려오는 곳 인근에 있습니다. 문화재청과 익산시는 이번 조사 성과를 토대로 유적의 보존·활용 방안을 만들 계획입니다.

15

■ 3월 4주 과학이슈 00:00 | 인트로 00:12 | 5위, 애플페이 국내 서비스 시작 02:00 | 4위,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03:51 | 3위, 3D프린팅 로켓 '테란1' 발사 05:39 | 2위, 인공눈물 사용 후 사망, 실명 잇따라 07:45 | 1위, 한빛-TLV 발사 성공

0

[육아의 과학] 과학자들의 연구로 푼 육아 궁금증…분리 수면

25

미국 연구진이 정자를 선택적으로 인공수정해 원하는 성별의 아기를 태어나도록 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미 뉴욕 웨일 코넬 의대 연구팀은 정자의 성염색체가 XY인지 XX인지에 따라 정자 무게가 다른 점을 이용해 특정 성염색체를 가진 정자를 난자에 수정시켜 원하는 성별의 배아를 얻었다고 밝혔습니다. 또 배아의 성별을 확인한 결과, 딸을 원하는 부부 59쌍의 79%가 딸 배아를 얻었고, 아들을 원하는 부부 56쌍의 80%가 아들 배아를 얻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부부가 원하는 성별의 배아를 자궁에 이식해 딸 16명과 아들 13명, 모두 29명이 건강하게 태어났다고 밝혔습니다.

30

[과학 실험 톡 : 과학 친목 게임!] 3월이면 다가오는 오리엔테이션! 개강총회! 신입생 환영회! 그곳에 빠지지 않는 것이 있었으니 바로 친! 목! 게! 임! 그리고 그 뒤에는 아무도 모르는 음지(?)에서 그 게임들을 연구하고 퍼트려 세계인의 친목을 형성시키는 비밀조직 Y.T.N! You&me Together Nolja가 있었다! 이번에는 그들이 과학을 접목한 친목 게임을 개발했다는데 과연 그 내용은? '과톡'에서 만나보세요! [핫이슈 톡 : 돼지 유전체 지도의 파급효과?] 우수성과 100선으로 선정됐던 돼지 유전체 지도 프로젝트! 추적조사 결과 우리 국민에게 미친 영향은 무엇일까?

0

[유럽의 STEM 교육][유럽의 과학교육]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0

과기정통부-美국토안보부 과기본부, 공동의향서 체결

145

대한민국 기초과학 발전에 공헌한 ‘한국 생물학의 아버지’, 조완규! 과감한 창의성을 활용한 그의 흥미로운 연구 스토리를 직접 들어보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