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1월 1~5주동안 전국 4대 권역에서(수도 · 강원, 충청, 호남, 영남) 「2023년 찾아가는 과학기술 R&D 정책설명회」(이하 정책설명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정책 설명회에서는 23년 과학기술 R&D 주요 정책방향, 내년도 주요 R&D 사업 추진계획 등을 안내하고 연구현장의 의견을 청취할 예정으로, 과학기술 R&D 정책과 사업에 관심있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 2022년 본예산 대비 2,949억원(1.59%) 증액
- 초격차 전략기술 확보와 국가 디지털 혁신 등 국정과제 실현에 박차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총 18조 8,686억원 규모의 과기정통부 ‘2023년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이 12.24.(토) 국회 본회의 의결을 통해 최종 확정되었다고 밝혔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12월 28일 ‘글로벌 과학기술 강국, 디지털 모범국가 실현’을 목표로, 2023년 업무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8개월 새정부의 과학기술‧디지털 정책기틀(민간주도, 선택과 집중, 일상생활 접목, 글로벌 선도)을 마련했다고 평가하고, 2023년 그간의 성과 위에 과학기술·디지털 기반 혁신으로 대한민국 도약에 기여하기 위한 3대 추진전략, 8대 핵심과제를 본격 추진합니다.
2022년 12월 27일에 다누리가 달 궤도 진입을 성공했습니다.
12월 26일 11시 6분 마지막(세번째) 임무궤도 진입기동*을 수행한 결과, 다누리는 목표한 달 임무궤도(달 상공 100km±30km)에 진입하여 약 2시간 주기로 달을 공전하고 있습니다.
* 달 임무궤도 진입기동 : 달 궤도선(다누리)을 달 임무궤도에 안착시키기 위해 궤도선의 추력기를 사용하여 속도를 줄이는 기동
GDP 대비 연구개발 비중(5%) 세계 2위, 연구원 비중 1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2021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 공공 및 민간영역에서 수행된 연구개발활동 현황을 조사·분석한 “연구개발활동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우리나라 총 연구개발비는 102조 1,352억원으로 전년(93.1조원)대비 9조 636억원(9.7%)이 증가해 처음으로 100조원 시대를 열게 됐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4.96%로 이스라엘에 이어 세계 2위권 수준을 유지했다.
#과학문화혁신포럼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영상소개
- 제12회 과학문화혁신포럼
- 일시 : 2022.10.12 (수) 14:00 ~ 16:00
📜 내용소개 : 증거 기반 과학 소통 (허위정보 기반 과학소통이 야기하는 사회적 폐해와 한국형 사이언스미디어센터 설립 등 대안 논의)
- 1부 : 주제발표 "비과학적 허위사실 : 대표적 사례와 사회적 위험"
- 2부 : 자유토론
📺 출연자
- 1부 : 한국행정연구원 류현숙 박사
- 2부 : (좌장) 한국과학창의재단 조율래 이사장 / (패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황한진 과장, 한양대학교 이상욱 교수, 한국언론진흥재단 오세욱 책임연구위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홍정주 책임연구원
디지털 인재 얼라이언스, 민간 주도와 청년 혜택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디지털 인재 100만 양성을 목표로 20일 ‘디지털 인재 얼라이언스(협의체)’ 출범식을 개최했다. 총 257개의 기업‧협회‧대학‧유관기관이 참여해 민간기업 주도로 운영될 것을 밝혀 이목이 끌리고 있다.
디지털 인재 얼라이언스란 시동
현 정부에서는 ‘디지털 100만 인재 양성’을 추진하며 지난 8월 22일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과 9월 28일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