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

12

유튜버나 화제의 인물을 초대해 궁금한 이야기를 나눠보는 시간.. '저기, 잠깐만요!'

112

공예품이 아름다우면서도 실용적인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수학이라고 하는데... 직물을 직접 짜 보며 교차와 비율 이해하기, 인형 옷 만들면서 수평과 수직 알기, 나무 공예품 만들면서 대칭의 중요성 체감하기, 도자기 만들며 회전체 쉽게 이해하기 등 공예 체험을 통해 수학 즐겁게 공부하는 법 대 공개! 지금까지 수다학을 사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수학 #공예 #테셀레이션 #비율 #대칭 [즐거운 수학여행] 공예 체험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099&hcd&key=202212261202294948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98

우리나라의 전통 공예인 전통 매듭. 실을 직접 염색하고, 염색한 실을 하나하나 엮어서 아름다운 모양을 만들어낸다. 전통 매듭의 기술을 이어가는 장인을 만나 아름다운 전통 매듭에 대해 알아본다. ▶full영상: https://youtu.be/C_ktbvQrTxI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전통매듭 #공예 #명주실 #끈목 장인이 선보이는 아름다운 전통 매듭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185&key=202203041756273569

322

천 원 숍의 전자시계와 무드 등이 로봇으로 변신한다? 제품 안에 있는 모듈을 꺼내고 나무로 로봇 틀을 만들어 로봇모양 전자시계와 무드등을 만드는데.. 함께 그 제작 과정을 살펴보자! ▶full영상: https://youtu.be/dweIG_2Kx7A #로봇 #로봇시계 #공예 #나무공예 #디지털시계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185&key=202109161546041359

5927

접합 부분이나 모서리 부분을 잡아줄 뿐만아니라 외부와의 접촉시 가구 자체의 모서리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는 장석이다

6280

귀장식이라고도 하며, 가구 모서리 부분의 목재가 더 잘 결합되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막아주며 장식의 효과도 지닌다. 귀정첩은 입체적으로 양면을 잡아주는 감잡이와 달리 평면적으로 귀부분만을 잡아주는 기능적 역할을 하는 금속 장식이다.

4247

서랍의 아래쪽에 부착하였던 나비모양의 금속장식으로 나비 몸통은 판금작업으로 만든 후, 양쪽 날개는 투각하여 외부 형태를 보다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3779

나비앞바탕은 나비모양의 앞바탕으로, 가구의 문을 여닫는 손잡이나 자물통을 받쳐주는 밑판을 말한다

3290

모루는 금속판을 올려놓고 두드리거나 정질할때 받침으로 쓰이는 쇳덩어리이다. 조선식모루는 대체로 둥근 형태로 통나무에 박아서 사용하였다. 이러한 모루 받침을 모루통, 모루독이라 한다. 센 망치질을 요하는 일의 경우 모루는 땅에 묻는 것이 보통이다. 모루는 각종 금속가공일에 고루 쓰이며 크기와 무게의 차이가 있다. 대장일에 쓰이는 모루는 벼림질에 주로 사용되며 방짜일에 쓰이는 모루는 네핌질이나 우김질, 벼림질할때 사용하게 되며 또는 징, 꽹가리의 소리를 잡을때도 쓰인다. 은방이나 장석방에서는 네핌질, 벼림질, 정질, 닦달질에 두루 쓰인다. 모루는 일의 완성단계에 따라 정질모루와 닥달모루로 구별한다. 정질모루는 금속판을 외형대로 짜르거나 내부의 형을 따낼 때 쓰이는 모루이다. 닥달 모루는 금속판을 판판히 고를 때 사용되며 모루의 바닥면이 평평하고 매끈하게 광이 나있다. 보통 지름 20cm 정도의 원형통쇠로서 밑둥 부분은 땅에 묻어 고정시킨다.

1880

대장간에서는 여러종류의 정이 필요하다. 쇠판을 자르거나 구멍을 뚫거나 쇠를 구부릴때 쓰이는데 각종 정은 반드시 망치와 한조를 이루게 되며 정질에는 보통 두 사람이 필요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