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진동수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고유진동수

388

소리는 공기를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는다. 소리의 힘을 유리잔을 활용해 느껴보자.

206

소리만으로 윷을 튀어올리게 해서 윷놀이를 할 수 있을까? 정디슨과 함께 실험을 통해 살펴본다.

2140

공명 현상을 이용하여 특정한 주파수의 소리를 증폭시켜 주는 기구를 말한다.

1592

외력을 가진 주파수들이 하나 이상의 고유 진동수들과 일치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0

공명(共鳴; Resonance)이란 물리학적, 공학적 용어로서, 특정의 고유진동수를 지닌 물체가 그와 같은 진동수를 가진 힘을 주기적으로 받을 경우 진폭과 에너지가 크게 증가하는 현상을 가리키며, 공진(共振)이라고도 한다.

1466

외력을 가진 주파수들이 하나 이상의 고유 진동수들과 일치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2266

물체에 공명 현상이 일어나는 진동수를 말한다.

13653

계(系)의 고유한 진동수로, 고유 진동이란 어떠한 물체가 진동하게 될 때, 그 진동체가 지니는 특정 진동수의 진동들을 의미하며. 계 또는 물체가 고유 진동을 발생할 때의 진동수를 고유 진동수라 한다.

4006

시간은 일상 생활 속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물리 단위이다. 시간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초(second)이다. 특징적인 것은 다른 대부분의 단위가 10진법 체계에 기초를 두고 있는 반면 시간의 단위는 60진법에 따른다는 것이다. 즉 1분은 60초, 1시간은 60분하는 식이다. 하지만 완전히 60진법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1마이크로초는 1백만 분의 1초를 말하고, 1나노초는 10억분의 1초를 말한다. 하지만 이것은 초라는 단위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그 길이만을 나타내는 말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60진법이 관철되고 있다. 이것은 아마도 고대 바빌로니아 시기에 60진법을 사용한 데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하루는 24시간, 1년은 365일로 정해졌는데, 이것은 1초를 단위로 분과 시간을 표현했을 때 지구의 자전, 공전 주기가 그에 해당한다는 말로 하루나 일년을 시간의

17173

독일이 참전한 세계 1, 2차 대전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는 너무나 많다. 이들 독일 병사들은 대개 무뚝뚝하고, 기계처럼 질서잡힌 자세로 행진하며 전투에 임한다. 그런데 여러분들은 일렬로 발맞추어 다리를 건너고 있는 장면을 본 적이 있는가? 아마도 없을 것이다. 혹은 있다면 그 영화는 순전히 과학적으로 잘못 된 것이며, 매우 위험한 촬영을 행하고 있는 것이다. 독일 병사들이 다리를 건낼 때 질서정연하게 행진하지 않는 이유는 바로 공명현상과 관련있는 것이다. 다리 위를 행진하는 군대는 보조를 맞추지 말라는 명령을 받게 된다. 다리를 착착 맞추는 보조의 진동수가 다리의 자연 진동수와 같을 경우, 공명현상에 의해 다리가 붕괴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 공명이란 무엇일까 탄성을 지닌 물질로 만들어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