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계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결정계

3118

결정계의 하나로, 길이가 다른 세 개의 결정축이 있다. 그 중에 좌우축, 상하축은 직교하고 전후축은 좌우축과 비스듬한 각을 형성하는 결정형태이다. 비스듬한 각을 축각(軸角)이라 하여 β로 표시한다. 정장석, 휘석, 각섬석 등이 포함

1685

결정축이란 결정에 관해 각 결정면이나 물리적 성질의 대칭성 등에 관한 기술을 조직적으로 할 수 있도록 선정하는 좌표축이다.

3774

결정계의 하나로, 길이가 다른 세 개의 결정축이 있다. 그 중에 좌우축, 상하축은 직교하고 전후축은 좌우축과 비스듬한 각을 형성하는 결정형태이다. 비스듬한 각을 축각(軸角)이라 하여 β로 표시한다. 정장석, 휘석, 각섬석 등이 포함된다.

3019

결정축이란 결정에 관해 각 결정면이나 물리적 성질의 대칭성 등에 관한 기술을 조직적으로 할 수 있도록 선정하는 좌표축이다.

1176

결정축의 선정방법을 기준으로 결정을 총괄하기 위한 분류.

2272

결정계란 공간군을 결정축 길이와 각도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등축정계, 정방정계, 육방정계, 사방정계, 단사정계, 삼사정계 등 크게 6가지로 나뉜다.

7037

결정축의 선정 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을 총괄하기 위한 분류. 결정축 선정 방법은 대칭성에 따라 규정되므로 결정계는 대칭성을 나타내는 점군의 분류로 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