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

0

세계 전역에는 잡초라고 불리는 야생초들이 자라고 있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들 야생초가 번성하는데 개미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12일 ‘사이언스’ 지에 따르면 최근 과학자들이 개미와 야생초 간의 긴밀한 협력 메커니즘을 세밀하게 밝혀내고 있다. 야생초가 씨앗을 통해 영양분이 풍부한 물질을 공급하면 개미는 이들 씨앗들을 열심히 실어 나르면서 번식을 돕고 있다는 것.

2593

개미류는 곤충류 중에서 벌목에 속하는 곤충인데요. 개미는 2억 년 전에 지구 환경에 출현하여 육상 환경에 가장 잘 적응한 곤충입니다. 북극과 남극처럼 매우 추운 지역과 해양을 제외하고는 지구환경의 어느 곳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0

개미들은 모여 살면서 분업을 하고 의사소통을 한다. 또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줄도 안다. 마치 어떤 통제가 있는 것처럼 기민하고 일사불란하게 움직이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런 개미들의 움직임을 사람 뇌에 비유한다. 각각의 뇌세포가 다른 뇌세포와 화학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행동을 유발하듯이, 개미들도 서로 화학적 대화를 나누며 예정되어진 행동을 유발한다는 것.

0

뛰어난 사회생활 능력을 보여주는 개미가 ‘공중방역’에서도 효과적인 전략을 구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개미집에 병원체가 침입하면 개미들은 질병 확산을 막기 위해 행동을 바꾼다. 이런 행동 수정을 통해 여왕개미와 알, 젊은 일개미들을 보호하는 것이다.

1226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 옛말이 있죠. 황보혜경 앵커는 이 속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사람이 너무 많으면 의사결정도 오래 걸리고 더 복잡해질 것 같은데요. 그렇죠. 그런데 개미들을 보면 이런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답이 나온다고 합니다.

0

지난 달 말 부산항의 부두에서 외래종인 붉은 불개미가 발견되어 큰 충격과 혼란을 몰고 왔다. ‘살인개미’라고 불리기에는 위험과 공포가 너무 과장되어 있다는 견해도 있지만, 아무튼 사람과 동식물에게 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만큼 철저한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0

고대 그리스의 우화작가인 이솝(Aesop)은 자신의 이야기를 통해 후손들에게 많은 교훈을 안겨주었지만, 반면에 좋지 않은 선입견도 제공해 주었다. 선입견을 제공해 준 대표적 우화로는 ‘개미와 베짱이’를 꼽을 수 있다.

2957

곤충류 중 꿀벌이나 말벌, 개미 등의 암컷이 배 아래에 가지고 있는 변형된 산란관이다. 다른 동물을 찔러서 독을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0

국립산림과학원은 개미의 종별 분포변화가 기존의 ‘온대형 분포 형태’에서, ‘열대형 분포 형태’로 변화되고 있다고 발표하면서, 지난 3년 동안 전국 365개소 산림의 개미 서식지 분포를 조사한 끝에 이 같은 분포변화를 감지했다고 밝혔다.

2498

개미의 종 다양성이 가장 높은데, 지구온난화로 인해 개미 분포가 매년 4.9m씩 높은 곳으로 이동하고 있어 2080년쯤에는 해발 656m에서 종 다양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