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라파고스

0

걸어 다니다가 두 마리의 큰 거북을 만났는데, 각각 적어도 200파운드(약 90kg)는 나갔을 것이다. 한 마리는 선인장 조각을 먹다가 내가 가까이 가자, 나를 응시하면서 천천히 다른 곳으로 갔다. 다른 한 마리는 깊게 쉿! 소리를 내며 머리를 집어넣었다. 이 거대한 파충류는, 검은 용암과 잎 없는 관목과 큰 선인장으로 둘러싸여서, 내 상상 속에서는 마치 대홍수 이전의 동물처럼 보였다.

2236

갈라파고스는 생태 및 기후학적으로 매우 특별합니다. 갈라파고스는 바다 한가운데에 생겨난 섬이기 때문에 물을 안 먹고 오래 버틸 수 있는 파충류들은 바다를 헤엄쳐 갈라파고스에 왔지만, 작은 쥐를 제외한 커다란 포유동물들이 유입될 수 없었습니다. 그 때문에 육상 생태계가 대륙에 비해 독특하고 단순하고요.

0

바닷새들이 하늘을 날다 쏜살같이 바다로 곤두박질하여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 다큐멘터리 장면이 떠오른다. 재빠르게 헤엄치는 물고기를 잡는 바닷새들의 사냥술은 놀랍기만 하다. 이런 사냥꾼들의 앞날이 그리 순탄하지 않을 것 같다.

1670

핵폐기장 문제로 한때 진통을 겪었던 서해 굴업도가 독특한 자연환경 덕분에 관광객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오랜 침식 작용으로 생긴 기암괴석과 아름다운 모래 해변이 장관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1544

전염병을 옮길 수 있는 사람이나 동물을 일정 기간 동안 특정한 장소에 고립시키는 것이다.

3838

최근 유행하기 시작한 말 중 ‘갈라파고스화’라는 말이 있다. 갈라파고스는 다윈이 진화론의 기초 아이디어를 정립하는 데 큰 도움을 준 섬으로 독특한 생태계로 유명하다. 이 갈라파고스 섬에 빗대어 한 국가의 경제나 기술이 세계의 흐름과는 동떨어진 모습을 보이고 있을 때, 산업이나 기술 생태계의 고립이 심해지는 현상을 갈라파고스화(化), 또는 갈라파고스 신드롬(Galapagos Syndrome)이라 한다. 얼핏 보면 언론에서 만들어 낸 조어 같지만 국제사회 표준과는 다른 독자 규격을 사용한 탓에 자국 외 해외 시장에서 제품의 경쟁력이 크게 떨어지는 현상을 일컫는 경제학 용어다. 사실 이 단어가 등장하기 전에도 여러 곳에서 갈라파고스화를 심심찮게 접할 수 있었다. 대표적인 사례가 미국의 자동차 시장. 미국은 유가가 낮고 석유 회사의 로비력이 강한 데다 극단적으로

3425

남미의 곳곳을 돌아 갈라파고스까지를 훨씬 열악한 여건 속에서 성공적으로 탐사했을 뿐만 아니라 위대한 과학적 이론까지 정립한 다윈에게 같은 과학자로서 깊은 감명과 존경심을 품고 있던 저자가 <종의 기원>발간 150주년을 맞아 비글호를 타고 170여 년 전 나섰던 탐험 길을 따라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