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물자원관-연구일지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국립생물자원관-연구일지

44

​ 크리스마스트리로 유명한 구상나무 뿌리 미생물로 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하는데요, 어떤 연구인지 다 같이 알아볼까요? 😊

43

국가생물다양성전략은 생물다양성의 체계적인 보전과 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범정부 전략입니다. 지난해 12월 채택된 ‘쿤밍-몬트리올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GBF)’를 반영하여 연말까지 수립될 예정인데요. 환경부는 사회 전 분야 및 여러 계층의 다양한 의견이 반영된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다양한 경로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83

우리나라 생물의 이름은 누가 지을까요? 최근 국내 학자가 지은 자생생물의 학명이 증가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그 이유가 무엇인지, 다같이 알아볼까요? 😊

122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안정적으로 복원할 수 있는 동결보존 기술이 개발되었다고 하는데요? 이것이 어떤 기술인지 한번 알아볼까요?🕵🏻‍♂️🕵🏻‍♀️

140

국립생물자원관은 한국과학기술원 및 군산대 연구진과 공동연구를 통해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알코올로 전환하는 자생 아세토젠* 미생물을 최근에 발견했습니다!

127

자생식물의 유용성에 대한 공동 연구 결과, 우리나라 식물 3종이 코로나 19 바이러스에 대해 90%이상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났음 발견했어요!

122

태평양의 섬나라 ‘마이크로네시아’를 아시나요? 생물자원이 풍부한 이곳의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해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 5년간 공동 조사를 진행하고 ‘코스라에 관속식물 도감’을 발간했답니다.

123

현재 한반도에는 약 10만 종의 생물이 서식한다고? 🧐 이를 밝히기 위해 국립생물자원관은 생물의 표본과 문헌 정보를 매년 조사 연구하여 현재까지 5만 8천 여 종을 발견했다고 해요!📢✨

95

태평양의 섬나라 ‘마이크로네시아’를 아시나요? 생물자원이 풍부한 이곳의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해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 5년간 공동 조사를 진행하고 ‘코스라에 관속식물 도감’을 발간했답니다.

111

야생멧돼지를 보신 적 있나요? 가끔 도심으로 내려와 뉴스에 등장하는 야생멧돼지 실제로 우리 주변에 얼마나 살고 있을까요? 🕵🏻‍♂️🕵🏻‍♀️